책소개
여기, 잇습니다--쇠도 글도 삶도!
할말을 잃어서 할말이 너무도 많은
지방×청년×용접 노동자 천현우의 뜨거운 출사표
지방, 청년, 그리고 용접 노동자. 여태껏 우리가 아는 척해왔거나 모르는 척해온 세계로부터 도저히 눈을 뗄 수 없는 강렬한 작가가 도착했다. 정상 사회의 바깥, 차라리 무법지대에 가까운 인간소외의 장,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일이라 믿어지지 않는 노동의 현장에서 탄생한 작가 천현우. 그는 우리 사회의 사각에서, 사양하는 산업과 도시의 틈바구니에서 용접공으로 일하며 『주간경향』에 ‘쇳밥일지’와 ‘쇳밥이웃’을 연재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의 첫 책 『쇳밥일지』는 연재분에 전사를 더하고 이를 전면 개고하여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
작가의 어린 시절부터 2022년 봄까지를 담아낸 『쇳밥일지』는 한 개인의 내밀한 역사가 시대와 세대의 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아니 에르노를 떠오르게 하고, 노동자 계급에 관한 생생한 밀착 일지라는 점에서 조지 오웰의 르포르타주 『위건 부두로 가는 길』과 그 궤를 같이한다. 양승훈 교수의 추천사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지방 제조업 도시의 ‘너무한’ 사연을 담은 문화 기술지이자, 부당함과 우여곡절 속에서 ‘쇳밥’을 먹으며 성장한 청년 용접 노동자의 ‘일지’”이다. 세대론을 논할 때조차 소외되는 ‘4년제 대학 출신-수도권 거주자’가 아닌 한 용접공의 “생각보다는 힘들되 꾸역꾸역 생존은 가능한 나날”을, “고와 낙이 있었고, 땀과 눈물이 있었으며, 희망과 좌절이 공존했고, 꿈이 짓이겨졌다가 다시금 피어”(「프롤로그」에서)나는 그 시간을, 고스란히 담았다.
늙어서도 인생의 마지막까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아마 글쓰는 일이 아닐까?
언제부턴가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글쓰기를 시작하는게 쉽지는 않았다. 학생 때처럼 일기 숙제나 레포트 과제가 있는것도 아니고, 무엇을 쓸 것인지 어떻게 써야하는지 막연하기만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방문한 도서관에서 독후감 공모 포스터를 보게 되었다. 이거다 싶어 추천 도서 목록을 찬찬히 보았다. 다른 책들보다 ‘청년공, 펜을 들다’ 라는 소제목에 용접 마스크를 쓰고 용접 불꽃이 튀는 표지가 나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처음 책을 읽었을 때 구수한 사투리, 짧은 문장, 몰입되는 글이 나를 반겨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