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체를 관통하는 대사 혹은 장면
“아닙니다. 내가 마마를 버린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버린 것입니다. 비단도포에 빠져 얼빠진 나를 버린 것이옵니다. 이제야 나를 찾은 것입니다. 이제야 이놈의 가슴이 벌렁거리고 살아 있음을 느낍니다. 이놈의 허파가 터져날갈 듯 기쁩니다.”
1-2. 이유
1. 욕심을 버리고 달라졌음 : 공길은 그동안 권력이나 금전적인 이유로 왕의 노리개가 되며 광대다운 삶을 살지 못했지만, 장생의 죽음으로 인해 스스로 도포를 벗고 광대다운 공연을 했다.
2. 그동안에 자신에 대한 후회 : 재물이나 지위 같은 것 때문에 광대다운..
<중 략>
1. 줄거리
우인들이 벽사의식을 한다.
연산이 어머니의 죽음에 연루된 자들을 모두 죽였다고 고하고 폐비윤씨의 한삼을 태우자 녹수가 등장해 연산을 위로한다.
연산이 공길을 매질하더니 희락원 대봉에 명한다. 녹수는 이 광경을 지켜본다.
우인들이 녹수의 비리를 풍자하며 놀자 공길이 나타나 조심하라고 한다.
장생이 임금 욕을 하자 공길은 가난에서 벗어나려면 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장생은 떠난다.
누이가 능욕 당한 일로 박원종이 연산이 처용무를 추는 자리에서 나가 버려 공기가 험악해지나 공길이 여장을 하고 나타난다. 공길이 옷을 벗자 연산은 다른 이를 모두 내쫓는다.
우인들이 형판의 비리를 풍자하자 연산이 형판을 죄주고 녹수는 원한을 품는다.
녹수는 공길의 필체를 흉내내어 비방문을 쓸 음모를 꾸민다.
녹수가 연산에게 비방문을 보이자 분노한 연산은 범인을 잡으라 명한다.
공길은 쓴 글을 모두 태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