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1885년 갑신정변 직후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조선의 입장2025.11.121. 갑신정변 1884년 조선 후기에 김옥균, 홍영식, 박영호, 서재필 등 급진 개화파가 일본의 지원을 받아 개화 정부 수립을 위해 일으킨 정변. 청불전쟁 직후 청국군 1,500명이 철수한 기회를 이용하여 10월 17일 우정총국 축하연에서 발동했으나 청국군의 무력에 의해 3일 만에 진압되어 삼일천하라 불림. 서양 문물 수용과 청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했으며 14개 정강을 발의했으나 당시 사회 분위기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음. 2. 갑신정변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 갑신정변 직후 청의 위안스카이는 조선에서 더 큰 권력을 행사하며 내정간...2025.11.12
-
역사 UCC 대회 속 학생들의 역사인식 연구2025.11.141. 오페르트의 조선 인식 프랑스인 오페르트는 1866년부터 2년간 서해안을 답사하며 조선의 실정을 파악했다. 1880년 '금단의 나라 조선'을 출간해 서구에 조선을 소개했다. 그는 조선이 온화한 기후, 비옥한 토지, 풍부한 광물 자원 등 잘살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조선 백성들이 정직하고 창의성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조선 정부의 폐쇄적 정책과 산업 억제로 인해 나라가 가난하고 낙후되었다고 분석했다. 2. 19세기 조선의 경제 상황 서양인들이 본 조선은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극도로 가난한 나라였다. 토지와 광...2025.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