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항공 및 복합운송2025.01.221. 항공운송 항공운송은 야행성, 편도성, 비계절성, 신속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운송의 장점으로는 수송기간 단축, 재고비용 절감, 양호한 수송조건 등이 있다. 항공운송에서는 항공화물운송대리점과 혼재업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공화물운송장은 화물 유통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운송서류이다. 2. 복합운송 복합운송은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복합운송인이 전체 운송구간에 대한 책임을 지며,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한다. 대표적인 복합운송경로로는 시베리아 랜드브리지와 미니 랜드브리지가 있다. 1. 항...2025.01.22
-
선하증권2025.01.221. 선하증권 개관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은 해상운송인에 대해 운송물의 인도청구권을 증권화한 유가증권입니다. 운송인이 그 증권에 기재된 화물을 수취하였음을 확인하고 또한 그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그곳에서 그 화물을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수하인)에게 인도해야 한다는 취지를 약정한 유가증권입니다. 선하증권은 요인증권, 문언증권, 요식증권, 채권증권, 유통증권의 성질을 가집니다. 2. 선하증권의 종류 선하증권에는 선적선하증권, 수취선하증권, 전통선하증권, 무고장선하증권, 고장선하증권, 기명식 선하증권, 지시...2025.01.22
-
해상운송업무2025.01.201. 재래선 운송 화주가 선박회사나 대리점에 선복신청서를 제출하고 해상운송 계약을 체결합니다. 선박회사는 예정 적하목록을 작성하여 송하인과 화물을 적재할 본선에 통지합니다. 송하인은 화물에 대한 검사 및 수출신고, 해상적하보험 가입 등의 절차를 거친 후 본선에 화물을 적재합니다. 선적이 완료되면 본선의 일등항해사가 본선수취증을 작성하고, 선박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선하증권을 발급합니다. 화물이 도착하면 수하인은 선하증권을 제출하고 화물인도지시서를 받아 화물을 인수합니다. 2. 컨테이너선 운송 송하인은 선박회사 또는 대리점에 선적예약을...2025.01.20
-
육상운송인2025.01.201. 육상운송인의 의의 육상운송인은 화물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에 화물을 적재하여 공로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는 자동차운송업자와 철도화차에 화물을 적재하고 철도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는 철도운송업자 등이 있다. 이들은 화주와 공로운송계약 또는 철도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약정된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하여 주고, 그 대가로 육상운송 운임을 취득하는 내륙운송업자이다. 2. 육상보세운송인의 의의 육상운송업자들은 해상운송 및 항공운송을 이용하여 운송된 화물을 내륙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특히 수입화물의 보세운송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보세운송업...2025.01.20
-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조약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71. 선하증권 선하증권이란 하주와 선박회사 간에 체결된 운송계약에 따라 선주 또는 그 대리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며, 또한 선적화물을 표시하는 물권증서이다. 즉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하주로부터 위탁받은 화물을 목적지의 양륙항까지 운송하여 이 증권의 소지자에게 증권과 상환으로 운송화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화물의 수취증권이다. 2. Full Set 모든 선하증권은 일반적으로 1조(one set)로 발행되는데, 통상 1조는 운송도중의 사고나 분실에 대비하기 위하여 3통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3통은 전부 선하증권의 원본으로 인정...2025.01.27
-
선하증권2025.01.201. 선하증권의 의의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해로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고자 화주가 해상운송업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그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운송서류입니다. 선하증권은 육상운송의 화물수취증과 같이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의 역할과 화주로부터 화물을 해상운송업자가 수취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화물의 권리를 나타내는 권리증권(document of title)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서류입니다. 2. 선하증권의 내용 선하증권의 양식은 항로,...2025.01.20
-
컨테이너운송2025.01.201. 컨테이너운송의 의의 컨테이너는 화물의 단위화(unitization)를 목적으로 하는 운송도구로서 육 ? 해 ? 공을 통한 화물운송에 있어 경제성 ? 신속성 ? 안전성의 이점을 갖고 물적유통부문의 운송 ? 보관 ? 포장 ? 하역 등 전 과정을 가장 합리적으로 일관운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운송용구를 말한다. 컨테이너화물은 한 Unit의 화물 적입량에 따라 FCL(Full Container Load) Cargo와 LCL(Less than Container ad) Cargo로 구분된다. 2.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터미널(conta...2025.01.20
-
무역계약의 결제조건과 보험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41. 보험조건 무역거래에서 운송과정상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커버하기 위해 보험에 부보하게 되는데, 이때 부보주체, 보험금액과 표시통화, 담보조건 등의 보험조건을 약정해야 한다. 부보주체는 통상 수출자 또는 수입자 중 한 쪽이 되며, 보험금액은 계약대금의 110%로 하고 표시통화는 계약통화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 담보조건은 ICC 약관에 따라 달리 정해지는데, CIF와 CIP 조건에서는 최소담보조건인 ICC(FPA) 또는 ICC(C)로 부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 대금결제조건 무역거래에서 수출자의 물품제공과 수입자의 대금지급은 ...2025.01.24
-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컨테이너 운송 컨테이너는 해상 수출입 업무를 수행할 때 여러 화물을 싣어서 운송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컨테이너는 대부분 철제로 만들어지며, 화물을 보호하고 규격화된 사이즈로 제작되어 안전하고 신속한 운송을 가능하게 한다. 컨테이너에는 일반 컨테이너와 특수 컨테이너가 있으며, 냉동/냉장, 오픈탑, 플랫랙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으로는 신속성, 안전성, 경제성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비용 증가 등이 있다. 2. 항만 항만은 선박의 출입과 화물의 하역, 보관 등을 위...2025.01.26
-
[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1.281. 컨테이너의 의의 컨테이너(container)란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게 제작된 규격화된 운송용기를 말한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운송은 운송화물의 단위당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선복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화물을 일시에 적재하고 양륙할 수 있어 운송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이용할 경우 최종 목적지까지의 운송 즉, '문전에서 문전(door to door)까지의 운송을 실현할 수 있다. 2. 컨테이너운송의 장단점 1) 장점: 정박기간 단축, 환적의 용이성, 창고료 절감, 화물의 안전성...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