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형법총론_인과관계에 대한 여러 학설 및 판례의 태도와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공통된 상당성 요건의 비교2025.01.191. 인과관계에 대한 여러 학설 및 판례의 태도 형법 제17조에서는 인과관계를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현대 형법 70년간의 학설사를 정리하면 연결은 인과관계의 확정과 객관적 귀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연주의적 사실관계로써 자연적 인과관계(제요소)의 확정에는 합법칙적 조건설이 유력하며, 그다음에는 규범적 평가관계로서 결과의 객관적 귀속(제2요소)이 요구된다. 대법원은 1956년 이래 상당인과관계설을 고수하고 있으며, 이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경험칙상 상당한 조건인 결과에 상당한 조건에 대해서만 그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견해이다. ...2025.01.19
-
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형법총론(1학년 1학기) 출석수업과제(만점 자료)2025.01.261. 구성요건 착오 문제의 두 사례는 구성요건 착오에 해당한다. 구성요건 착오의 유형에는 구체적 사실의 착오와 추상적 사실의 착오, 객체의 착오와 방법의 착오가 있다. 이에 따라 각 학설과 판례에 따라 사례별로 甲을 어떻게 처벌할 수 있는지 서술하였다. 2. 구체적 사실의 착오 제시된 두 사례는 객관적으로 실현된 사실과 甲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사실이 동일한 구성요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추상적 사실의 착오'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3. 객체의 착오 사례1의 경우 甲이 乙을 살해하려고 마음먹었으나 乙과 닮은 丙을 乙로 착각한 것...2025.01.26
-
부작위범에 관한 학설 정리2025.01.171. 작위와 부작위의 구분 작위와 부작위를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다양한 학설이 있다. 작위범 우선 판단설, 규범적 척도 기준설, 자연과학적 척도 기준설 등이 있으며,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이 법적 판단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규범적 차원에서 비난 가능성을 고려하여 법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2. 부작위범의 유형 부작위범은 구성요건에 부작위가 명시된 진정부작위범과 작위범의 구성요건을 부작위로 실현한 부진정부작위범으로 구분된다. 진정부작위범은 거동범, 부진정부작위범은 결과범의 성격을 가진다. 3. 부...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