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병원내 감염2025.01.14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은 증상이 있는 경우와 무증상 요로감염으로 구분됩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는 발열, 요의 절박, 빈뇨, 배뇨곤란, 치골 상부 압통 중 한 증상과 소변배양에서 2종류 이하의 세균이 10^5/ml 이상 분리되는 경우로 진단합니다. 무증상 요로감염은 정체 도뇨관 처치를 받은 경우나 최소 두 번의 소변 배양검사에서 두 종류 이하의 미생물이 10^5/ml 이상의 균락을 형성하고 증상이 없는 경우로 진단합니다. 기타 요로감염은 신장, 요관, 요도 또는 신장 주위조직의 감염으로, ...2025.01.14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정의 및 결과 보고서2025.01.03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이 지표는 중심정맥관 사용과 관련된 혈류감염 발생률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지표 분자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사례 수이며, 분모는 해당 기간 동안의 중심정맥관 삽입일수 총합입니다. 목표값은 전년도 평균 혈류감염 발생률 이하로 설정되었으며, 분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의료관련 감염 중 하나로, 환자의 예후와 직결되...2025.01.03
-
말초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를 위한 QI 보고서2025.01.281. 말초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감소 말초정맥관 삽입 및 유지 관리는 병원 치료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의료 행위로, 입원 환자의 약 80% 이상이 정맥주사 요법(IV care)을 받고 있을 만큼 흔히 사용됩니다. 이러한 임상 간호 활동은 환자 치료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맥주사 요법은 잘못된 관리나 부주의로 인해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입원 기간이 연장되고 치료비가 증가하며, 의료 소송 등 법적 분쟁을 포함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