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전통적 할당의 원칙인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개념 비교 및 한국 사회복지정책 사례2025.01.201. 보편주의의 개념 보편주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전 국민에게 하나의 권리로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별주의와는 다르게 자산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소득보장과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할당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보편주의는 국가에서 모든 국민의 욕구를 평등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기본으로 한다. 보편주의는 선별주의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사회적 문제 예방, 인권 보장, 복지서비스의 균일성 보장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이 제대로 서비스를...2025.01.20
-
길버트와 스팩트의 할당 원칙과 할당의 원리에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사회복지의 개념과 대표적인 사회복지정책2025.01.221. 길버트와 스펙트의 할당 원칙 길버트와 스펙트는 사회복지 정책의 주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할당의 원칙을 네 가지로 나눈다. 첫째, 자격 기준은 사회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누구인지를 결정한다. 둘째, 전달 체계는 복지 서비스를 누구를 통해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셋째, 재정적 기반은 사회복지 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재원을 마련하고 운영될 것인지를 명확히 한다. 넷째, 이익의 내용은 사회복지 혜택의 구체적인 종류와 수준을 설정한다. 2.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개념 보편주의는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사회복지 혜택을...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