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폭력 - 생물학적 원인 vs 악의 평범성2025.01.131. 폭력의 생물학적 원인 폭력의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호르몬의 영향,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물질의 부족, 전두엽 기능의 약화 등이 있다. 호르몬 중 테스토스테론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으며, MAOA 유전자의 변이는 폭력성과 분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폭력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전두엽 기능의 약화로 인한 행동 조절 능력 저하도 폭력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악의 평범성 한나 아렌트는 유대인 학살을 관리하고 실행했던 아이히만을 만나면서 범죄자들이 변태나 사디...2025.01.13
-
권력이란 무엇인가2025.01.171. 권력의 개념 막스 베버와 한나 아렌트는 권력의 개념을 다르게 정의한다. 베버는 권력을 '특정한 사회관계에서 반대가 있는데도 자신의 의지를 주장할 수 있는 기회'로 보았지만, 아렌트는 이를 폭력과 강제력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아렌트는 권력을 공동체와 자유로운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힘으로 규정하였다. 2. 폭력과 권력의 관계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권력을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해왔지만, 아렌트는 폭력이 결국 권력을 파괴한다고 보았다. 그는 폭력은 특정 사람에게 무언가를 하도록 만드는 것이지만, 권력은 공동체의 자유로운 합의...2025.01.17
-
<돈룩업> 비평문, 한나 아렌트와 관련하여2025.01.241. 정치의 거짓말 영화 <돈룩업>은 현대사회의 탈진실 현상을 유머러스하게 보여준다. 정치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거짓말을 하고, 언론과 기업이 이를 조장하는 모습을 통해 한나 아렌트가 분석한 정치에서의 새로운 거짓말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정치인들은 진실보다는 자신의 이미지와 지지층을 위해 거짓말을 하며, 이는 대중들의 비합리성과 결합하여 탈진실 현상을 만들어낸다. 2. 표상의 위기 영화에서 기업인 이셔웰은 자신의 계획을 홀로그램 이미지로 설명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계획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미지 자체를 현...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