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고려시대 군사제도: 부병제와 군반씨족제의 논쟁2025.11.141. 부병제론 고려의 군사제도를 당나라의 부병제와 동일한 성격으로 보는 견해. 중앙군의 2군 6위를 구성한 군인들이 일반 농민으로서 병농일치 원칙에 따라 편성되었으며, 군역의 대가로 군인전을 지급받았다고 주장. 주현군의 보승·정용군이 교대로 번상하여 중앙군을 구성했으며, 농민들은 상번과 비번으로 나뉘어 수도로 번상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 중앙·지방·변경의 3요소가 중앙 정부의 통일적 지휘 아래 운용되는 부병제의 특징을 강조. 2. 군반제론 고려의 중앙군 2군 6위를 구성한 군인들이 군반씨족이라는 특수 신분층의 전문 직업군인이었다고...2025.11.14
-
고려의 성립과 발전: 왕건부터 현종까지2025.11.161. 고려의 건국과 초기 통일 왕건은 신라 말의 혼란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나라를 세웠습니다. 민족 재통일 후 지방 호족, 신라·후백제 출신 인재, 발해 유민을 포섭하여 진정한 민족 융합을 이루었습니다. 태조 왕건은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영토를 청천강 유역까지 확장했습니다. 초기에는 호족 세력이 강성했으나 광종의 호족 억압 정책으로 왕권이 강화되었습니다. 2. 성종의 제도 정비와 중앙 집권 성종은 중앙 집권 정치를 위해 정치 조직과 군사 제도를 정비했습니다. 지방 주요 지역에 도시를 설치하고 국자감을 설립하여 유교 교육을 장려했습니다...2025.11.16
-
몽골 침입과 원나라 간섭기2025.11.181. 몽골의 침입과 고려의 항전 고려는 1231년 몽골의 제1차 침입을 받았다. 몽골 장군 살리타가 사신 차고여의 살해를 이유로 침략했으나 처인성에서 김윤후에게 사살되었다. 이후 몽골군은 1259년 강화가 맺어질 때까지 여러 차례 침입했고, 고려는 도읍을 강화도로 옮겨 끈질긴 항쟁을 계속했다. 최씨 무신 정권이 무너지면서 1270년 왕정이 복구되고 항전은 종식되었다. 2. 원 간섭기의 고려 지배 체계 원나라는 고려와 강화 후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철령 이북에 쌍성총관부, 서경에 동녕부,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했다. 다루가치라는 감...2025.11.18
-
고려의 지방제도 정비2025.11.121. 성종의 지방제도 정비 고려 성종은 지방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였습니다. 각 지역의 명칭을 개정하고 전국을 10도로 나누었으며,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12개의 도시인 12목을 설치했습니다. 또한 12주에 각각 절도사를 두었는데, 이는 양주, 광주, 해주, 황주,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 상주, 진주 등이었습니다. 성종 때 설치한 10도는 삭방, 패서, 관내, 중원, 하남, 강남, 영남, 영동, 산남, 해양이었으며, 이를 통해 고려의 지방행정 체계가 크게 발전했습니다. 2. 현종의 지방제도 완성 현종은 고려의...2025.11.12
-
고려와 원나라의 관계 및 문화 교류2025.11.161. 몽고의 고려 침략과 강화 몽고족이 세운 원나라는 아시아 정복 후 고려를 침략하여 약 40년간 전쟁을 벌였습니다. 고려는 오랜 전쟁 끝에 원과 강화를 맺고 개경으로 환도했으나, 이후 원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었습니다. 원은 고려에 정동행성을 설치하여 일본 정벌을 강요했고, 철령 이북 지역에 쌍성 총관부, 평양에 동녕부, 제주도에 탐라 총관부를 설치하여 고려 영토를 차지했습니다. 2. 원나라의 고려 지배 정책 원나라는 고려의 관제와 왕실 용어의 격을 낮추고, 금, 은, 매 등 공물을 요구하여 고려에 큰 부담을 주었습니다. 농민들은 ...202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