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0개
-
자음과 모음의 특징 및 분류2025.05.021. 자음의 특징 한국어 자음은 19개의 자음과 2개의 반자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은 첫째,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는 대신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둘째, 한국어의 평음은 일반적으로 무성음에 가깝게 발음되지만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이 된다. 셋째, 한국어의 음절말 자음이 모두 불파음으로 실현된다. 2. 모음의 특징 한국어 모음은 10개의 단모음과 11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모음체계의 특징은 첫째, 모음은 공기가 입 안에서 어떤 장애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둘째, 자...2025.05.02
-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 및 분류2025.05.061. 자음의 특징 자음은 허파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입술이나 혀 등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장애를 받아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 없이 독립적인 음절을 구성하지 못한다. 한국어의 자음은 19개로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 나뉘며,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뉜다. 또한 유기음과 무기음, 평음과 경음으로 구분된다. 2. 모음의 특징 모음은 자음 없이 독립적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한국어 모음은 10개의 단모음과 11개...2025.05.06
-
한국어의 자음군 단순화(종성제약)에 대한 설명2025.05.081. 한국어의 자음군 단순화 한국어의 자음군 단순화(종성제약)에 대해 모든 겹자음을 포함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우리말에서 겹받침은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로 11가지로 뒤의 자음이 탈락한 경우와 앞의 자음이 탈락한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ㄼ'와 'ㄺ'의 예외 규칙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2. 다른 언어의 자음군 단순화 현상 한국어 이외에 자음군 단순화(종성제약) 현상을 가진 언어의 예로 영어를 들었습니다. 영어에서의 자음군 단순화 현상은 어간의 끝에 위치한 자음군이 그 뒤에 모음으로...2025.05.08
-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2025.05.051.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 한국어의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단모음은 혀의 높이와 입술 모양, 혀의 위치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으로 분류된다. 이중모음은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으로 나뉘며, y-계, w-계, ?-계 이중모음이 있다. 현실적으로 'ㅔ'와 'ㅐ'의 구분이 사라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ㅓ'와 'ㅡ'의 구분도 없어지고 있다. 2.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 교육 방안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최소대립쌍을 활용한 교육, 모음 사각...2025.05.05
-
외국인들의 입장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2025.01.281. 자음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 자음 중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어려워하는 발음은 된소리와 격음이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ㄲ', 'ㄸ', 'ㅃ'과 같은 된소리 발음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ㅅ'과 'ㅆ'의 차이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ㄹ'과 'ㄴ'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 모음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의 모음 체계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도전 과제이다. 특히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은 많은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준다. 영어권...2025.01.28
-
대조언어학2025.01.201. 한국어의 자음 한국어의 자음은 모두 21개, 장애음 15개, 공명음 6개로 구성되며, 조음위치와 조음방법, 기식성 및 긴장성에 따라 구분된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비교하여 한국어 자음의 특징과 각 언어권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2. 한국어의 모음 한국어 모음은 혀의 높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으로 구분된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비교하여 한국어 모음의 특징과 각 언어권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2025.01.20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세부적인 목표2025.05.161. 다양한 길이의 한국어 발화 단위 사용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문장과 함께 절, 구, 어절, 단어 하나와 같이 다양한 길이의 발화 단위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간단하고 쉬운 발화 단위를 사용하여 말하기의 부담을 줄이고, 생략된 형태의 발화도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2. 한국어 음소와 변이음의 정확한 발음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한국어 자음, 모음, 음소의 변이음을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한국어 고유의 ...2025.05.16
-
대조언어학_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 봅시다.2025.01.231. 자음 체계에서의 발음 어려움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음 발음에서 겪는 어려움을 사례별로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정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경음과 평음의 구분,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ㅅ' 발음,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ㄹ'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음의 정확한 방법을 설명하고 반복 연습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모음 체계에서의 발음 어려움 영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음 발음에서 겪는 어려움을 사례별로 제시하고, 이를 극...2025.01.23
-
한국어 자음의 특징과 발음 교육2025.05.031.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발음은 어렵고 생소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에만 존재하고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발음의 경우나 발음이 앞뒷말에 따라 달라지는 발음의 경우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발음 오류는 학습 과정 중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2. 한국어 발음 교정 발음 오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전문 교수자의 도움이 제공되면 더욱 빠르고 쉽게 해결될 수 있다. 본론에서는 한국어의 발음 가운데 평음, 경음, 격음의 발음 오류의 양상을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살펴보...2025.05.03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 봅시다.2025.05.08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파열음, 유음, 중모음, w-계 이중모음, 초분절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의 파열음 삼중대립, 탄설음 발음, 중모음 'ㅔ, ㅚ'와 'ㅓ'의 발음, 'ㅙ' 이중모음 발음, 강세구 억양 실현 규칙 등이 중국어와 차이가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 2.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삼중대립, 모음 긴장-이완 대립, 강세, 리듬, 억양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의 자음 이중대립과 한국어의 삼중대립의 차이, 영어 모음...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