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하부 자궁경부 제왕절개(C/SEC)2025.01.211. 자궁경관 개대정지 자궁경관 개대정지는 2시간 이상 자궁경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자궁경관 개대정지는 난산의 한 종류에 해당되며, 자궁수축이 비효과적으로 발생되었거나 산도의 물리적인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자궁경관 개대정지가 발생하면 산모는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고 태아에게 적절한 산소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중요 장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외부 전자태아감시기, 양수 내 태변 착색 유무, 활력징후 측정, 내진 등의 진단적 검사를 통해 자궁경관 개대정지를 확인하고, 옥시토신 투여나 제왕절개분만 등...2025.01.21
-
저출생체중아 (LBWI) 문헌고찰, 간호과정 (감염위험성, 영양불균형)2025.01.141. 저출생 체중아의 정의 저출생 체중아는 출생 체중이 2.500gm 이하이거나 재태기간 (임신기간)이 37주 미만인 경우의 아기를 통칭하며, 체중에 따라 저출생 체중아, 극소 저출생 체중아, 초극소 저출생체중아로 분류됩니다. 2. 저출생 체중아의 원인 저출생 체중아의 원인은 산모의 저산소증, 영양결핍, 임신중독증, 만성질환, 임신 중 담배 및 음주, 태반의 문제, 자궁내 발육지연, 태아곤란증, 다태임신, 태아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수종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3. 저출생 체중아의 간호 저출생 체중아의 간호에는 피부색과 혈액가...2025.01.14
-
모성 시뮬레이션 실습: 태아분만 사전학습2025.11.151. 분만 1기 진행과정 및 간호사정 분만 1기(개대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부터 경관의 완전개대(10cm)까지의 과정입니다. 간호사정에는 산전자료 검토, 자궁수축 상태 파악, 심리사회적 요소 사정이 포함됩니다. 신체검사는 분만단계와 산부·태아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입원 시 활력징후, 태아심박동, 자궁수축 상태, 경관 변화 등을 확인합니다. 라마즈 호흡법은 통증 완화를 위해 분만 단계별로 다른 호흡 패턴(심호흡, 느린 흉식 호흡, 빠른 흉식 호흡, 패턴화된 호흡)을 사용합니다. 2. 고긴장성 및 저긴장성 자궁수축 고긴장성 자궁수축은...2025.11.15
-
분만실 CPD 케이스 - 태아곤란증 제왕절개 분만2025.11.151. 태아곤란증(Fetal Distress)의 정의 및 병태생리 태아곤란증은 자궁 내 태반 호흡에서 출생 후 폐 호흡 확립 과정 중 산소 결핍으로 초래되는 장애 현상이다.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산증이 동반되며 심혈관계, 호흡기계, 중추신경계, 신장 및 위장관계, 대사계에 영향을 미친다. 태아 저산소증의 첫 징후는 자궁 내 성장 지연, 태아 심박동 수 감소, beat-to-beat variability 감소, variable 또는 late deceleration 양상을 보인다. 분만 시 태변 착색된 양수는 태아 곤란증이 있었음을 시...2025.11.15
-
중증 자간전증으로 진단된 임부의 사례2025.01.121. 중증 자간전증의 진단 근거 중증 자간전증으로 진단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혈압이 중증 전자간증에 해당하는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완기 혈압 110mmHg로 상승했다. 2) 단백뇨 검사 결과 양성이었다. 3) 두통과 부종 증상이 나타났다. 4) 초음파 검사 결과 예상 태아체중이 1.8kg으로 자궁 내 성장지연이 확인되었다. 5) 초임이기 때문에 임신성 고혈압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2. 중증 자간전증의 기타 증상 중증 자간전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타 증상으로는 핍뇨, 뇌 또는 시각 장애, 청색증, 심와부 또는 ...2025.01.12
-
A+ 여성간호학 분만1기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2개)2025.01.241. 전자태아감시장치 모니터 해석 전자태아감시기의 목적은 진통기간 중 태아 산소공급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감시기가 의심할만한 증거를 보여주면 추가 평가를 시작하거나 태아 산소공급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를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치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감시기는 태아 저산소증의 잠재적 결과를 피하기 위해 최적의 출생 시기와 방법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2. Oxytocin 약물 작용과 부작용, 적응증, 금기증 옥시토신은 정상적으로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이것은 자궁수축을 자...2025.01.24
-
태아곤란증 환자의 제왕절개 간호과정2025.11.151. 태아곤란증(Fetal Distress) 태아곤란증은 태아절박가사라고도 하며,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응급상황입니다. 임신 28주 이후나 진통 중에 주로 발생하며, 임신 20번당 1번 정도의 빈도로 나타납니다. 급성, 아급성, 만성 태아곤란증으로 분류되며, 조기에 조치하지 않으면 태아의 뇌 손상이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 임신입니다. 발견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신생아가 안전하게 분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은 복벽과 자궁벽의 절개를 ...2025.11.15
-
제왕절개 분만: 정의, 적응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11.12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제왕절개는 질을 통한 자연 분만이 불가능하거나 더 안전하다고 판단될 때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하는 외과적 수술 방법이다. 질식 분만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태아곤란증(산소 결핍으로 인한 태아의 신체적 스트레스 상태)이 있을 때 의사의 판단에 따라 시행될 수 있다. 즉시 중재가 필요한 응급 상황에서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분만 방법이다. 2. 산모측 제왕절개 적응증 산모측 원인으로는 과거 난산으로 인한 연조직 손상, 이전 제왕절개 경험으로 인한 자궁파열 위험 증가, 심한 ...202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