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및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와의 관계
2025.04.30
1.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
실험연구에서는 실험 결과가 순수한 실험 처치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는 내적 타당도와 실험 결과의 일반화 정도에 관한 외적 타당도가 확보되어야 올바른 연구설계라 볼 수 있다. 내적 타당도는 실험 처치를 통해 실험의 결과가 나타났는지를 의미하며, 외적 타당도는 실험결과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을 말한다. 내적 타당도 저해요소로는 역사 혹은 개인적 경험, 성숙, 검사 실시, 도구 사용, 통계적 회귀, 연구대상자 선정, 연구대상자 탈락, 연구대상자 선정-성숙 상호작용이 있다. 외적 타당도 저해요소로는 ...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