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관심 있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1개 선택해서,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적 관점의 지역사회복지실천에2025.01.211. 노인 문제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정 지역은 오히려 노인 인구가 더욱 많은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증가로 인해 새로운 노인문제들이 나타나고 있고 앞으로 노인 문제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개입이 필요해지고 있다.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한 사회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큰 사회론의 관점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은 결국 위기 상황에 놓인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근본적인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이제는 노인인구가 더 많아지는...2025.01.21
-
큰사회론과 강한사회론 중 자신이 지지하는 실천론2025.01.241. 큰 사회론 시민들은 기본적 삶의 근거를 자조, 자립으로 해결하고 정부는 빈곤층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으로 시민사회 마을의 역할증대를 강조하는 정책이다. 2. 강한 사회론 국가가 결핍에 대해 소득을, 무지에 대해 교육을, 질병에 대해 의료를, 불결에 대해 주택을, 나태에 대해 고용을 책임지는 개인의 행복에 대한 공공책임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정책형태이다. 3.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 돌봄 공백 문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제도권의 돌봄 서비스에서 소외받는 아동이 발생...2025.01.24
-
지역사회복지론(출석)_우리지역 문제를 강한사회 관점으로 서술하시오. (1)2025.01.241.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를 단위로 한 사회복지로, 사회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사회복지는 시민의 사회적 위험을 공적 개입을 통해 해결하려는 사회적 노력이며, 이러한 사회복지의 이념 및 정책은 지역사회복지의 방향과 내용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2. 큰 사회론(big society) 큰 사회론은 사회를 크게 만들어 시장의 병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국가의 역할을 기대하지 말고 지역주민들 스스로 자신과 이웃을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의 지역버전이다. 3. 강한 사회(stro...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