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병동의 주요 시술 및 검사2025.01.091. G-ESD(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G-ESD는 점막암, 병변 2cm 이하, 육안적으로 궤양이나 궤양 반흔 없음, 암세포의 림프 혈관 침범이 없으며 CT에서 림프절 전이 없고 조직학적으로 분화형인 경우에 적응증이 됩니다. 합병증으로는 출혈, 천공, 심근경색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전 동의서를 받고, 의치와 장신구를 제거하며, 보호자와 함께 내시경실로 내려가도록 합니다. 시술 후 어지러움, 흉통, 혈변 등이 발생하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합니다. 2. 골수 검사 골수 검사는 빈혈, 급성백혈병, 호중구감소증, 호지킨림...2025.01.09
-
Appendectomy case study A++자료 간호진단 2개 출처, 수술법, 수술재료 구체적2025.01.181. 충수돌기염(appendicitis) 충수염, 충수돌기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 충수돌기 절제술(appendectomy) 충수절제술(appendectomy) : 천공이 발생하면 복막염이 되기 때문에 충수염으로 진단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2025.01.18
-
맹장염2025.01.231. 맹장염 맹장염은 맹장 끝에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5% 이상에서 복통이 발생하며, 이 외에도 식욕부진, 오심, 구토, 국소적 복부 압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충수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진단을 위해 임상 증상, 이학적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이 활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충수돌기 절제술을 통해 치료되며,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 선호되고 있다. 수술 후 합병...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