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일본 명문 감상 1과 본문 해석 및 후리가나, 문형2025.01.111. 고독 우리들이 고독감을 품기 시작하는 것은, 언제쯤부터일까. 누구라도 짐작할 수 있듯이 청춘시절이다. 이른바 두번째 탄생일---그때 처음으로 고독이라는 의식을 명료하게 가질 것이다. 즉(다시말해) 자신의 삶의 방식을 구하려는 욕구가 생겼을 때다. 그 이유는, 인생이 미지인 것에서 기인한다. 물론 많은 선인의 가르침이 있고, 인생을 설명한 책도 적지는 않지만, 그것을 살리는 것은 결국 자기자신이며, 단 하나뿐인 생명을 무엇인가에 걸고 인간은 생을 마감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런 일생은, 미리 확실히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자신...2025.01.11
-
[문학 세특] 김소월 '초혼'의 새로운 해석, 초혼은 그저 임에 대한 슬픔과 그리움의 시일 뿐인가?2025.01.211. 김소월의 시 <초혼> 김소월의 시 <초혼>은 임에 대한 슬픔과 그리움의 시라고 해석되지만, '임에 대한 사랑이 아닌 자성의 시로 해석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기존의 <초혼>은 죽은 이를 임으로 보는 해석으로 제1연은 임의 상실, 제2연은 임의 상실로 인한 영향과 고백 못한 회한, 제3연은 상실감과 허무감, 제4연은 수습할 수 없는 절망적 상황과 절망적 거리감, 제5연은 죽은 사람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좌절로 끝내지 않으려는 '나'의 단단한 의지가 표현된다. 이렇듯 김소월의 <초혼>은 임을 향한 사...2025.01.21
-
청춘의 아름다움과 고난을 다룬 시집 <리스본행 야간열차>2025.01.281. 청춘의 이중성 시집 <리스본행 야간열차>는 청춘이 마냥 아름답지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이 가지고 있을법한 청춘에 대한 환상을 파괴한다. 그러나 이 시집은 단순히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 발 더 나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춘의 아름다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2. 야간열차의 상징성 야간열차는 낭만적으로 들리지만 실제로는 경험해 본 적 없기에 허울밖에 없는 존재이며, 누구나 한 번 쯤은 매료될 수밖에 없는 존재를 상징한다. 이는 청춘에 대한 환상과도 연결된다. 3. 시의 형식적 특징 시에서 특별히 시선이 오래 머무른 부분은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