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직무평가 방법 비교 분석2025.01.151. 직무평가의 의의 및 목적 직무평가(job evaluation)란 기업 내 각 직무의 중요성, 위험도 등을 기준으로 타 직무와 비교해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더 높은 가치가 인정되는 직무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임금이 주어지는 직무급제도의 기초가 된다. 직무평가는 각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기에 직무상 개개인의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같은 직무라 할지라도 조직내에서의 중요도에 따라 직무평가의 결과가 다를 수 있다. 직무평가는 기업내 임금구조 · 체계의 확립, 인사관리 전반의 합리화를 목적으로 한다...2025.01.15
-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조사 보고서(공공기관 직무급 도입 사례/KEPCO)2025.01.121. 연공급 연공급은 임금을 연차나 경력에 따라 결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실무자들에게 적용된다. 경력과 노하우를 가진 직원을 상징적으로 대우하는 장점이 있지만, 성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부족하여 공정성 문제와 동기 부여 감소의 단점이 있다. 2. 직무급 직무급은 업무의 성격, 복잡성, 책임 등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상위 계층의 관리자나 전문가들에게 적용된다. 각 직무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고 성과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기 부여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직원들이 개별 성과에만 집중할 수 있...2025.01.12
-
[인적자원관리] 보수2025.01.151. 보수 보수란 직무수행의 대가로 지급하는 금전적 보상을 의미한다. 보수는 임금과 복리후생(fringe benefits)으로 구성된다. 보수는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조직차원에서는 유능한 인력을 확보해 조직에 특화된 인적자원을 유지하는 원천이고, 조직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해 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목표 달성에 기여하게 한다. 개인 차원에서는 생계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을 구입하고 생활의 질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보수 상승은 조직에 대한 개인의 공헌도를 인정받아 더 높은 지위를 부여받은 결과이므로 사회적 신분...2025.01.15
-
임금의 개념과 적정한 임금관리의 중요성2025.01.201. 임금의 개념 임금이란 고용주가 근로 대상으로 근로자에게 임금과 봉급 기타 어떠한 명칭이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으로써 고용주가 지급하는 금품이기 때문에 그 성질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인정되며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직접 개별적으로 지급하는 금품이어야 한다고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은 범위가 유사하고 최저임금에 산입한 임금 범위를 판단할 때 통상임금의 개념을 참고할 수 있다. 직무급은 조직 내 존재하는 직무에 대한 평가와 직무가 지닌 상대적 가치를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2. 적정한 임금관...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