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가 함께 있는 중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억양 교육 방안2025.01.021. 억양의 중요성 말의 억양은 사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억양은 소속된 집단이나 지역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투리가 사라지거나 다른 지역이나 집단의 억양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타인에게 이해받고 새로운 커뮤니티에 적응하고자 하는 욕구나 필요성 때문입니다. 2. 한국어 억양 교육 현황 한국어 억양 연구는 의사소통 교수법의 주목과 함께 1990년대 중반부터 다른 영역에 비해 뒤늦게 진행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학습자 모국어 억양과 한국어 억양의 비교 연구를 시작으로, 억양 교육...2025.01.02
-
한국어 학습자의 평음경음격음 구별과 관련된 오류 예시2025.01.021. 한국어 발음 오류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는 발음 오류의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특정 음운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 경우로, 'ㅅ, ㅈ'을 'ㄷ'으로 발음하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둘째, 연속적인 발음이 어려운 경우로, 빠른 속도의 연속적인 발음을 하기 어려워한다. 셋째, 모국어와 목표어의 언어/방언 체계 차이로 인한 발음 오류가 있다. 특히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차이로 인해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 예시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범...2025.01.02
-
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가 함께 있는 중급의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음 오류 상황을 가정하여 오류 수정방안 기술2025.01.181. 영어권 자음 체계와 비교 및 오류 영어 자음은 주로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으로 구분되지만, 한국어의 자음은 발음 위치와 방법, 기식과 긴장도에 따라 더욱 복잡한 조음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격음과 경음 구분, 유음과 설측음, 마찰음 발음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2. 중국어권 자음 체계와 비교 및 오류 중국어 자음은 무기성과 유기성의 대립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한국어는 조음 위치와 방법, 기식과 긴장도에 따른 세분화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격음과 경음 구분, 마찰음...2025.01.18
-
외국어로서발음교육론_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가 함께 있는 중급의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음 오류 상황을 가정하여 오류 수정 방안을 기술하시오.2025.01.191.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특성 영어의 자음 체계는 유무성 대립이 특징이며, 한국어에 없는 순치 마찰음, 치간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권설음 등이 있어 한국어 자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한국어의 유성음화 현상과 /s/와 /ㅆ/의 구분 등이 영어권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특성 중국어와 한국어는 자음 체계가 유사하지만, 중국어는 '무기음-유기음'의 2분 대립 체계를 가지는 반면 한국어는 '평음-경음-격음'의 3분 체계를 가진다는 차이가...2025.01.19
-
중국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2025.01.22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평음, 격음, 경음을 혼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어중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하고, 치경경구개음을 치경음으로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보입니다. 모음 발음에서는 /ㅡ/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ㅓ/ 또는 /ㅗ/와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중모음 /ㅢ/의 어두 발음도 적절히 하지 못합니다. 2.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종성 자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예를 들어 '감'을 '간'으로, '밤'을 '반'으로 발음하는 ...2025.01.22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오류와 교육 방안2025.01.171. 한국어 자음의 특징 한국어 자음 체계는 평음, 경음, 격음의 세 가지 대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음은 기식성이 약한 자음, 경음은 기식성이 강한 자음, 격음은 기식성이 가장 강한 자음이다. 이러한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수성은 외국어 학습자에게 큰 어려움을 준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문제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중국어에 이러한 대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격음 발음에 어려움을 느끼며, 평음과 격음을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를 보인다. 3. 한국어 발음 ...2025.01.17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 오류와 교정 방안2025.01.19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 오류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와 음절 구조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겪는 주요 오류로는 'ㄹ' 소리 무시, 'ㄱ'과 'ㄲ'의 혼동, 'ㅂ'과 'ㅍ'의 구별 어려움, 'ㅅ'와 'ㅆ' 발음 실수, 'i'와 'ㅉ'의 혼동, 'ㄹ'과 'ㄴ'의 혼동, 'ㄷ'과 'ㄸ' 발음 어려움 등이 있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 교정 방안 이러한 오류를 교정하고 발음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2025.01.1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단모음 교육 방안2025.01.191. 영어권 학습자의 단모음 특징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단모음 /ㅓ/, /ㅗ/, /ㅜ/, /ㅡ/ 등이 영어의 모음과 차이가 있어 혼동을 겪는다. 이를 위해 이들 모음의 정확한 발음을 익히도록 하고, 최소대립쌍 연습 등을 통해 변별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단모음 특징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단모음 /ㅣ/, /ㅔ/, /ㅐ/ 등이 중국어와 차이가 있어 혼동을 겪는다. 이를 위해 이들 모음의 정확한 발음을 익히도록 하고, 유사한 중국어 모음과의 대조 연습 등을 통해 변별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3. 일...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