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10다13541 판결 분석2025.01.261. 이사의 임기 연장 상법 제383조 제3항에 따르면 이사의 임기는 원칙적으로 3년을 초과할 수 없지만, 정관에 따라 임기 중 최종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의 종료 시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는 이사가 결산기에 주주들에게 책임을 지고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취지이다. 본 판결에서는 임기 만료 후에는 이사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2. 주주총회 소집 절차 상법 제362조와 제363조에 따르면 주주총회 소집은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대표이사가 해야 하며, 법령과 정관에 따른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본 판결에...2025.01.26
-
[주식회사법]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다222368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하시오.2025.01.261. 대표이사의 감시의무 이 판결은 기업의 대표이사와 임원들이 회사의 불법행위를 예방하고 감독하는 책임을 어디까지 다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법적 원칙을 다루고 있다. 대표이사는 회사 전반에 걸쳐 감독과 감시를 할 책임이 있으며, 특히 불법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해야 한다. 피고는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운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표이사로서 감시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대표이사의 법적 책임 이 판결은 대표이사가 불법행위를 직접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감시 의무를 다하지 않았...2025.01.26
-
방송대_주식회사법_중간과제물_2023학년도 2학기 대법원 2022. 11. 10. 선고 2021다271282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하시오.2025.01.251. 퇴임대표이사의 권리의무 상실 소외 1은 2010. 3. 31. 피고의 이사로 중임된 후 피고 정관상 임기가 만료되었으나 후임 이사와 대표이사가 선임되지 않아서 퇴임이사와 퇴임대표이사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특정경제범죄법 제14조 제3항, 구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2019. 5. 7. 대통령령 제297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소외 1의 유죄판결 범죄사실로 이득을 얻은 기업체인 피고는 소외 1의 유죄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징역형의 집행이 종료된 후 5년의 기간까지...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