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정직성, 정말 외로운 그말2025.04.301. 주류와 비주류 최근 '비주류'라는 단어를 듣는 것은 어렵지 않다. 비주류 정치인, 비주류 예술가, 비주류 경제학자까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비주류라는 말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주류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정의내리는 일은 쉽지 않다고 생각한다. 단어 그대로의 뜻을 따져 보자면 비주류라는 말은 주류가 아닌 반대의 것, 즉 큰 흐름에서 비켜 선 사람들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 또한 모호하고 또 상대적이긴 마찬가지이다. 2. 박이소의 작업 및 작품 박이소는 자신 스스로를 비주류라고 여긴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2025.04.30
-
미디어정책 ) 부르디외 구별짓기 개념을 활용한 미디어문화 텍스트 또는 문화적 현상과 사례 분석2025.04.281.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개념 부르디외가 구별짓기라는 논의를 칸트의 심미적인 판단에 대해 나름대로 독해하고 비판하면서 진행하고자 했다. 판단에 대해 사회적인 비판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구별짓기가 어떻게 서로 다른 사회계급을 보여주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구별짓기 자체가 우월한 계급은 자신들이 특징될 수 있는 생활양식상의 변별적인 속성에서 다른 계급과의 관계에서 탁월하거나 구별된다고 여겨지는 생활양식으로써 자연화되는 역동적인 과정이 되는 것이다. 2. 명품 문화와 구별짓기 대표적인 것이 명품문화가 있다. 교모하게 상투적인 것이 오히...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