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응용물리회로실험- Diode Circuits2025.05.071. 반파 정류회로 1번째 실험에서는 다이오드와 저항을 이용해 반파 정류회로를 구성하였다. 양의 반주기 동안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가 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었지만, 음의 반주기 동안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반파 정류 회로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축전기를 이용한 정류회로 2번째 실험에서는 1번째 실험에 축전기를 추가하였다. 양의 1/4주기 동안 입력전압의 피크 값보다 조금 작게 축전기가 충전되고, 이후 입력전압이 피크 값보다 작아지면 축전기가 부하저항에 방전되는 과정을 반복...2025.05.07
-
중앙대 일반물리실험(2) 10주차 실험 결과 보고서2025.05.151. 정류회로 이번 실험은 정류회로를 이해하는 실험으로 다이오드와 축전기를 지나면서 교류에서 직류로 변화하는 것을 전압의 파형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다이오드는 순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며 축전기는 완전히 정류된 직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2. 오실로스코프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정류회로 실험기기 회로 상의 여러 지점의 전압 파형을 측정하고 이 파형의 전압진폭, 주기, 진동수를 해석하면서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오실로스코프의 여러 스위치와 조절기들...2025.05.15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정류회로실험 결과2025.05.151. 정류회로 실험 실험을 통해 정류회로 실험기기의 회로도를 이해할 수 있었다. 회로도는 변압부와 정류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실로스코프로 전압파형을 측정하면서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정류회로를 구성하는 순방향 다이오드와 콘덴서의 역할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전압 파형의 형태를 이해할 수 있었다. 오실로스코프의 특성과 사용법을 익힘으로써 전기적 신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2. 전압파형 분석 실험을 통해 다양한 단자 사이의 전압파형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변압부에서의 전압 강...2025.05.15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예비보고서 9. LPF와 HPF의 설계2025.05.031. 오실로스코프 연결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에서 동시에 관찰하려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CH1에 연결하고 커패시터의 양단을 CH2에 연결해야 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CH1에서는 회로 전체의 양단을 측정하여 Function generator의 입력전압파형을 나타내고, CH2에서는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파형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오실로스코프 연결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오실로스코프를 올바르게 연결하면 회로의 전압, 전류, 파형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2025.05.03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72025.05.15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이 보고서는 RC 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내용은 DMM의 내부 저항 측정, RC 시정수 측정 방법 설계, 10μs의 시정수를 갖는 RC 회로 설계 및 전압 파형 예측, 오실로스코프 연결 및 설정, 그리고 RC 회로의 전압 파형 예측 등입니다. 1.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시정수는 RC 회로에서 전압이나 전류가 초기값의 약 63.2%까지 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저...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7 (보고서 1등)2025.05.10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DMM을 직류전압 측정모드(DCV)로 설정한다. 2) 매우 큰 저항(20MΩ)을 DMM과 연결한다. 3) DMM에 표시된 값을 기록한다. 4) DMM의 내부저항이 10MΩ정도이므로 매우 큰 저항이 연결될 경우 DMM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의 전압에 영향을 주어 Voltage Divider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DMM의 내부저항을 계산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RC 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2025.05.10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02025.05.151.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이 실습의 목적은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로 구성된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을 이해하고 실험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실험에 필요한 기본 장비와 부품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실험 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험 계획에는 RLC 직렬회로의 특성 계산, 입력 신호에 따른 각 소자의 전압 파형 시뮬레이션, 임계감쇠 저항값 계산 및 측정, 각 소자의 전압 파형 측정 방법, 사인파 입력에 따른 각 소자의 전압 파형 예측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2025.05.15
-
홍익대학교 IT시스템설계(실험5) 최종프로젝트 PFC설계2025.04.261. 전압파형 첫번째 그래프를 통해 전압파형이 기대했던 모양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전압오차 두번째 그래프를 통해 처음에는 전압오차가 커서 10V로 Limiter시킨 IL의 지령치가 출력되며 동시에 overshoot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정상상태 마지막 그래프에서는 과도상태를 지나 정상상태에서 입력전압과 전류가 동상을 이루며 power factor가 1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압파형 전압파형은 전기 회로에서 전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는 전기 시스...2025.04.26
-
전기회로설계실습 7장 결과보고서2025.01.201. RC회로의 시정수 측정 이번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RC회로를 구성하여 커패시터가 전압을 충,방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아보고 Function generator의 파형을 다르게 하여 커패시터와 저항에 걸리는 전압파형을 관찰하며 커패시터의 전압 충전과 방전 과정을 Oscilloscope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커패시터의 역할, 원리, 주기에 따라 RC회로의 응답이 바뀌는 과정을 배웠다. 2.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에 걸리는 전압 1.542V를 통해 계산했을 때, DMM의 내부저항은 10...2025.01.20
-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RL 회로 10mH 인덕터와 1kΩ의 저항을 사용하여 RL회로를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RL time constant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은 FG를 사용하여 1V 사각파(high = 1V, low = 0V, duty cycle = 50%)로 인가하였다. 또한 인덕터가 충분한 자기에너지를 충전, 방전할 수 있도록 이 사각파의 주기를 10τ,즉,100μs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한 시정수는 9.50μs였고 오차는 5%였다. 2. 입력전압 변화 입력전압을 ±0.5 V의 사각파(high = 0.5 V, low = - 0.5...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