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임상심리학자에게 요구되는 윤리 기준 중 가장 중요한 부분2025.01.031. 임상심리학자의 윤리 기준 임상심리학자에게는 선의와 무해, 비밀 엄수, 성실한 업무 수행, 공정성, 타인의 권리와 존엄성 존중 등의 일반 원칙이 요구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내담자와의 적절한 관계 유지입니다. 임상심리학자는 내담자와 깊은 라포를 형성하게 되지만, 이를 바탕으로 다중관계를 맺어서는 안 됩니다. 다중관계는 임상심리학자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저하시키고, 내담자의 변화를 방해하며, 내담자에 대한 착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상심리학자는 내담자와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윤리...2025.01.03
-
상담에서 윤리적 기준이 요구되는 이유2025.01.161. 내담자의 안전과 보호 상담의 주된 목적은 내담자의 복지와 안전을 증진하는 것이다. 내담자는 상담 과정에서 자신의 가장 민감한 정보와 감정을 공개하게 되므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비밀을 철저히 보호하고 내담자의 신뢰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윤리적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2. 전문성 유지와 향상 윤리적 기준은 상담자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담자는 자기 능력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최신 지식을 유지하며,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내담자에게 최상의 서비...2025.01.16
-
상담에서 윤리적 기준이 요구되는 이유2025.01.191. 상담자의 역할과 책임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돕는 역할을 맡는다. 상담 과정에서 전문성을 발휘해 내담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지원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조언과 지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담자는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2. 내담자의 권리 보호 내담자의 프라이버시와 비밀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내...2025.01.19
-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 소진2025.01.031. 소진(burnout) 소진(burnout)은 1970년대 약물 중독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1974년 프로이덴베르게(Herbert Freudenberger)가 심리학 저널에 '스태프들의 번 아웃'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소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소진은 피로, 좌절, 무관심, 스트레스, 소모, 무기력, 절망, 감정의 메마름, 정서적 소진, 냉소적으로 되는 등의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소진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소진이 일과 관련된 요인, 내담자와 관련된 요인, 사회사업가와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