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서울 경기지역에서 유행한 잡가2025.05.091. 휘모리잡가 서울 경기지역에서 유행한 잡가 중 속도가 빠른 노래를 말하며, '빨리 몰아서 부르는 잡가'라는 뜻이다. 가사의 내용이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 2. 서울지방 잡가 조선시대 말엽에 서울지방에서 크게 유행했던 잡가에는 기생타령, 병정타령, 생매잡아, 만학천봉, 육칠월 흐린 날, 한잔 부어라 등이 있다. 기생타령과 병정타령의 작자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기생타령은 자신을 과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3. 기생타령 서울지방에서 유행했던 잡가 중 하나로, 개화기 이후에 생긴 노래이다. 어느 기생이 화창한 날 산에 올라 서울시...2025.05.09
-
경기민요의 계보와 발전과정2025.05.101. 경기민요 경기민요란 서울과 경기도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라 하겠으나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는 경기긴잡가를 가리킨다. 잡가(雜歌)란 가곡(歌曲), 가사(歌詞)와 같은 정가(正歌)의 대칭인 속가(俗歌)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속가 가운데 좀 긴 통절형식(通節形式)의 좌창(坐唱)을 잡가라 하며 경기잡가 가운데 느린 장단으로 된 십이잡가(十二雜歌)를 긴잡가 라고 일컫는다. 2. 경기잡가 경기잡가는 서울 문(門)안과 근교의 수공예의 장인들이나 채소밭을 가꾸던 밭쟁이 한량(閑良) 출신 소리꾼들에 의하여 전승 발전되어...2025.05.10
-
조선말엽 민중음악 잡가의 역사와 특징2025.11.131. 잡가의 정의와 특징 잡가는 조선말엽 하층민 소리패들이 놀이공간에서 부르던 잡다한 노래들입니다. 여러 장르의 노래를 섞어서 부르는 비정형적 형식의 노래로, 체계성이 없으면서도 우리 민족의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가사는 시조에서 인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당시 사설시조들이 잡가의 가사로 활용되었습니다. 2. 조선말엽 유행 잡가의 종류 조선말엽에 유행한 잡가로는 유산가, 적벽가, 소춘향가, 집장가, 평양가, 선유가 등이 있습니다. 휘모리 잡가로는 달거리, 십장가, 방물가, 출인가, 곰보타령, 기생타령 등이 있습니다. ...2025.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