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아주대학교 현대물리학 실험 MP-3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 보고서2025.01.17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을 통해 구한 플랑크 상수는 6.49771 * 10^-34로 오차율은 1.97%이다. 실험값이 실제 플랑크 상수보다 약 0.1가량 작게 측정된 이유는 빛의 파장이 입사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방해를 받아 진동수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을 수 있다. 2. 일함수 측정 정지 퍼텐셜 대 진동수의 그래프로부터 일함수 값을 얻어낼 수 있다. 1. 플랑크 상수 측정 플랑크 상수는 양자 역학의 기본 상수로, 물질과 에너지의 양자화된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 상수입니다.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측정하...2025.01.17
-
아주대)현대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예비2025.01.291.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광전효과는 금속에서 실험이 진행되는데 금속의 전자는 퍼텐셜 에너지 우물에 갇혀있다. 이때 금속에 광자를 쐬어주면 광자의 에너지가 전자에 흡수되어 전자의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때 전자는 광자의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 우물(금속의 일함수)의 차이만큼의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된다. 2. 플랑크의 양자가설(Plank's Hypothesis) 플랑크는 전기진동자가 독립된 양자 각각으로 전자기파에 에너지를 주기는 하지만 전자기파 자체는 고전적 파동 이론을 따른다고 주장했...2025.01.29
-
아주대)현대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2025.01.29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 1에서는 플랑크 상수 h를 구하기 위해 진동수(파장)별로 다른 정지퍼텐셜의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그 기울기를 계산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인 6.62607015×10^-34 J·s와 측정값인 6.38×10^-34 J·s를 비교하여 3.62%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정지포텐셜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세세한 단위까지 측정하지 못해서 생긴 작은 오차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결정계수(R제곱값)가 0.9977로 0.9 이상을 보여줌으로써 꽤 정확한 결과값을 얻었다고 볼 수 있...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