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노트북 컴퓨터에서 웹 서버로의 DNS 처리 과정2025.01.121. DNS(Domain Name System) 처리 과정 노트북 컴퓨터에서 웹 서버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DNS 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컴퓨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노트북 컴퓨터에서 웹 서버로 접속할 때, 우선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을 요청하고,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반환합니다. 이후 노트북 컴퓨터는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서버와 통신합니다. 2. DNS 서버 계층 구조 DNS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노트북 웹 브...2025.01.12
-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계층 기능 비교2025.01.161. OSI 모델 OSI 모델은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며 계층 간 일관된 모델을 제시하여 네트워크 개념을 표준화하고 복잡한 통신 규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인터넷의 성장에 맞추어 OSI 모델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인 4계층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링크, 인터넷, 전송,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며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시스템 간 통신이 ...2025.01.16
-
IPv6가 만들어진 이유와, IPv4와의 차이점을 상세히 기술하라2025.01.191. IPv4 IPv4 주소체계는 계층 구조로 32bit 주소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호스트를 찾아가기 위해서 사용하는 구조이다. IPv4의 몇 가지 구성요소로 Network Address, HOST Address, SUB NET MASK 등이 있다. 2. IPv6 등장 배경 국제인터넷 표준화 기구인 IETF에서는 2008년부터 2011년 사이 IPv4가 고갈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IP next generation이라는 그룹을 만들어서 1994년부터 활동했고, 1995년 표준이 제안됨에 따라 IPv6가 등장하게 되었다. 3....2025.01.19
-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과 OSI 7계층 모델 비교2025.01.231.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과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장치들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 형식, 타이밍, 오류 제어, 전송 속도 등의 요소를 정의하여 통신을 표준화합니다.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2. TCP/IP 모델 구조 TCP/IP 모델은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총 4계층(응용,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계층은 독...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