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수출입통관 관련서류2025.01.181.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란 수출국 소재의 수입국영사 또는 수출지의 상업회의소가 해당물품이 해당국에서 생산, 제조 또는 가공되었다는 증명서이다. 원산지란 당해물품의 견부 또는 2개국 이상이 제조하는 경우 당해물품의 본길적인 특성을 최종적으로 부여한 국가를 의미한다. 원산지증명서의 사용목적은 특정국가나 지역으로부터 수입을 금지 또는 제한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 호혜통상협정이 체결된 국가 간의 수입물품에 대한 협정세율의 적용을 통한 관세의 감면혜택의 부여목적,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특혜...2025.01.18
-
[무역결제서류] 선적서류2025.01.211. 선적서류의 개념 신용장거래에서 선적서류라 함은 관례적으로 무역서류 또는 수출대금 회수를 위한 모든 서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운송서류라 하는 것은 무역거래에 필요한 여러 서류로서 선화증권, 상업송장. 보험증권 등을 지칭한다. 그리고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가 있는 경우 그러한 서류도 선적서류의 개념에 포함된다. 2. 선적서류의 종류 선적서류에는 보험서류, 복합운송증권, 항공화물운송장, 포장명세서, 원산지증명서, 검사증명서 등이 포함된다. 보험서류는 보험증권과 보험증명서가 있으며, 복합운송증권은 복합운송에 의...2025.01.21
-
원산지 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원산지 제도의 기능과 역할 원산지 제도는 국제 무역에서 상품의 원산지, 즉 제품이 생산된 국가나 지역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를 증명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무역 정책 수립, 관세 및 무역 장벽 설정, 소비자에게 상품 정보 제공 등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자국 산업 보호, 소비자 보호 등의 기능도 수행합니다. 2. 원산지 결정 기준과 종류 원산지 결정 기준에는 '완전생산기준'과 '가공공정기준'이 있습니다. 원산지 증명서는 자율발급과 기관발급으로 나뉩니다. 또한 '국적'과 '경제적 실체'를 고려한 원산지 규정도 있습니다. 3. ...2025.01.26
-
[무역법규] 대외무역법에서 원산지 제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2025.01.221. 원산지제도의 개요 원산지란 물품이 성장하거나 생산 · 제조 · 가공된 국가를 의미하며, 원산지규정은 원산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증명서류, 확인절차, 표시방법 및 위반에 대한 처벌규정으로 구성된다.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 피해 방지, 국민보건 및 자연환경 보호, 통상정책 수단 적용 등을 위해 필요하다. 2. 원산지의 확인기준 일반물품의 경우 당해 물품의 전부를 생산한 국가를 원산지로 하며, 2개국 이상에서 생산된 물품은 실질적 변형기준(세번변경기준)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특수물품(영화용 필름, 부속품, 포장용품 등)은 별도의 ...2025.01.22
-
[국제물류] 운송서류2025.01.231. 보험증권 보험증권(insurance policy)이란 보험계약의 요령, 내용 및 조건 등을 기재한 증서로서 수출업자는 해상보험료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보험자에게 청구하여 보험증권을 발행 ? 교부받아 다른 운송서류와 함께 수입업자에게 송부한다. 이러한 보험증권은 CIF가격조건인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2. 보험증명서 보험증명서(Insurance certificate)란 동종 ? 동질의 물품이 동일지역에 계속해서 수출될 경우 선적할 때마다 개별적인 보험에 부보하지 않고 사전에 포괄보험증권(open policy)을 발급받고 ...2025.01.23
-
국제운송과 보험2025.01.291. 상업송장 상업송장은 수출상이 수입상 앞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물품의 명세서와 물품에 대한 대금청구서 역할을 한다. 또한 수출상이 매매계약에 따라 물품을 제공하였다는 계약이행의 입증서류이기도 하다. 상업송장은 수출상의 입장에서는 무역대금을 결제받기 위한 주요 서류뿐만이 아니라 출하안내, 과세자료, 수출통관상 세관 등에 제공하게 되는 서류이다. 2. 보험증권 보험증권은 보험계약 성립의 증거로서 보험자가 피보험자의 청구에 의하여 교부하는 것으로 계약서도 유가증권도 아니고 단지 증거증권이며 통상 배서나 인도에 의하여 양도된다. 보험증...2025.01.29
-
무역결제서류(상업송장, 선하증권, 항공화물운송장, 보험서류, 포장명세서, 원산지증명서)2025.01.281. 상업송장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은 수출업자가 수출거래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여 수입업자에게 보내는 매매거래의 명세서입니다. 수출업자 입장에서는 대금청구서이자 출하안내 및 과세자료, 수출수속을 위한 서류이며, 수입업자 입장에서는 수입통관수속에 필수적인 서류입니다. 송장은 상거래용 상업송장과 세관용 공용송장(official invoice)으로 구분됩니다. 2. 선하증권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신용장 조항 중 화물의 선적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선하증권은 '무사고 선적선하증권 전통', '수출업...2025.01.28
-
원산지 관리2025.01.201. 원산지 규정 자유무역 협정의 체결로 세계경제가 점차 블럭화되는 경향을 보이자 수출국들은 자유무역협정에 의한 관세혜택을 받기 위하여 현지공장설립 등 해외직접투자를 증대시키거나 제3국을 통한 우회수출을 도모하여 이에 대응해 왔다. 그 결과 이러한 생산공정의 세계화(intel-national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에 따라 수입통관 시 관세결정, 쿼터적용,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부과 등에 있어서 2개국 이상에 걸쳐 생산된 물품의 원산지 결정이 필연적인 문제로 등장하...2025.01.20
-
무역결제서류2025.01.291.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는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수출국 주재의 수입국 영사 또는 수출지의 상공회의소가 송화물의 원산국 또는 제조원산지를 증명하는 양식(Form No. CCI-1)이고, 다른 하나는 UNCTAD의 일반특혜관세제도(GSP)에 의거하여 발행되는 원산지증명서(GSP C/O Form A)입니다. 이 원산지증명서에는 상품의 가치와 수량뿐만 아니라 상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장소가 기재됩니다. 2. 포장명세서 포장명세서(Packing List)는 선적화물의 포장방법, 각...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