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2025.01.201. 해상운송인의 개요 해상운송인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목적항까지 운송하고, 그 대가로 해상운임을 획득하는 업자이다. 이들은 대부분의 수출입 화물과 원자재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세계 무역의 발전과 효율적인 자원배분에 기여하고 있다. 정기선 운송업자들은 고품질의 해운서비스를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화주들의 계획적인 활동을 지원한다. 2.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 대부분의 해상운송 계약은 운송업자와 화주 간의 부합계약 형태로 이루어지며, 운송업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운송약관을 설정하여 책임범위를 경감하려 노력해왔다....2025.01.20
-
복합운송인의 책임원칙과 책임체계2025.01.201. 복합운송인의 책임원칙 복합운송은 2개 이상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관운송체제이다. 복합운송인은 전 운송 구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된다. 책임의 원칙과 손해배상 한도액을 단일하게 적용할지, 각 운송방식의 조약 및 법규에 따라 개별적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복합운송계약 체결 시 책임원칙과 체계를 명확히 명시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이종책임체계 이종책임체계(Network Liability System)는 복합운송인이 전 운송 구간에 걸쳐 책임을 지지만, 책임의...2025.01.20
-
육상운송인의 운송책임2025.01.201. 운송책임의 일반원칙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화물을 운송하는 모든 운송업자들은 계약된 화물을 안전하고도 정확하게 운송하기 위해 상당한 주의와 의무를 다해야 한다. 특히 운송 중에 발생한 화물의 멸실, 손상 및 화물운송의 지연 등으로 인해 화주가 입은 피해에 대하여 운송인이 손해배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운송인의 화주에 대한 배상은 운송계약서에 명시되거나, 당해 계약을 구속하는 법률이나 국제조약 등에 정해진 바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2. 손해배상청구권의 성립요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요건으로는 가해자에게 위...2025.01.20
-
항공운송인(바르샤바조약, 헤이그의정서, 몬트리얼협정)2025.01.201. 항공운송인 항공운송업자는 공항에서 공항까지 항공기에 화물을 탑재하여 항공로를 통해 화물 운송업무를 수행하고, 그 대가로 항공운임을 수취하는 운송업자를 말한다. 특히 긴급을 요하는 화물의 운송이나 고가화물, 우편화물, 상업서류 등의 신속한 운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매우 안전하고 쾌적한 고품질의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바르샤바 조약 바르샤바 조약은 1929년 바르샤바에서열린 국제항공협의회에서 채택된 조약으로서, 미국, 중국, 러시아 등 100여 개국이 가입하고 있는 대표적인 항공운송 조약이다. 본 조약의 적용을 받으려면...2025.01.20
-
복합운송증권2025.01.291. 복합운송증권의 의의 복합운송증권(Multimodal Transport Documents or Combined Transport Documents : MTD, CTD)이란 선박, 철도, 항공기, 자동차에 의한 운송방식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운송방식에 의하여 운송물품의 수탁지와 인도지가 상이한 국가의 영역 간에 이루어지는 복합운송계약을 증명하기 위해서 복합운송인(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 MTO)이 발행한 증권을 말한다. 즉, 복합운송증권이란 복합운송에 의하여 물품이 인수된 사실과 계약상의...2025.01.29
-
적하보험의 구상절차2025.01.271. 적하보험의 구상절차 피보험자는 보험사고로 인하여 손해를 입었을 경우에 보험자에게 구상(claim)을 하고 보험금을 수령한다. 따라서 보험증권의 소지인은 보험목적물에 손해를 당하였을 경우에 즉시 보험회사에 서면이나 구두로 먼저 통지를 하여야 하며, 그런 후에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서 구상을 하여야 한다. (1) 전손 및 단독해손의 구상 (2) 공동해손의 구상 (3) 제3자에 대한 구상 1. 적하보험의 구상절차 적하보험의 구상절차는 화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한 후 실제 책임 있는 당...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