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국가'의 정의론과 영혼의 삼분설
2025.11.15
1. 정의(正義)의 정의와 트라시마코스의 상대주의 윤리관
플라톤의 '국가' 1권에서 소크라테스와 트라시마코스는 정의의 본질을 놓고 논쟁한다. 트라시마코스는 정의를 '기존 정권의 편익'으로 정의하며, 통치자들이 법을 제정할 때 자신들에게 이로운 행위를 정의로운 것으로 규정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테크네(기술) 논증을 통해 통치자의 역할은 자신의 편익이 아닌 피통치자의 편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반박한다. 이를 통해 정의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2. 정의 자체의 좋음과 사회계약론적 정의관
2권에서 글라우콘은 정의의 기...
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