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힐젠라트의 홀로코스트 블랙유머 소설 나치와 이발사(1971) - 악의 평범성과 독일 그로테스크 문학2025.01.061. 홀로코스트 문학의 금기 넘어서기 힐젠라트는 가해자의 관점에서 홀로코스트를 풍자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독자들을 도발하고 소설이 불러일으키는 혼동 속에서 스스로 성찰해야할 의무를 부과한다. 그는 끊임없이 블랙유머를 견지하며 아무런 흔적도 없이 생애를 마감한 막스라는 인물을 통해 한사람의 유무죄나 단죄보다 더 중요한 문제인 홀로코스트에 대한 윤리적 귀결에 대한 성찰을 주문한다. 2. 악의 평범성과 독일 그로테스크 문학 힐젠라트는 가해자인 막스 슐츠의 관점에서 홀로코스트를 다룸으로써 당시 터부시되었던 블랙유머와 그로테스크한 서술방식을...2025.01.06
-
폭력 - 생물학적 원인 vs 악의 평범성2025.01.131. 폭력의 생물학적 원인 폭력의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호르몬의 영향,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물질의 부족, 전두엽 기능의 약화 등이 있다. 호르몬 중 테스토스테론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으며, MAOA 유전자의 변이는 폭력성과 분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폭력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전두엽 기능의 약화로 인한 행동 조절 능력 저하도 폭력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악의 평범성 한나 아렌트는 유대인 학살을 관리하고 실행했던 아이히만을 만나면서 범죄자들이 변태나 사디...2025.01.13
-
방통대간호학과-사회복지학개론(3학년2학기중간과제물)2025.01.251.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아돌프 아이히만은 히틀러의 명령에 복종하며 유대인을 수용소로 이송하는 책임자 역할을 성실히 수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나 아렌트는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내놓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사람이 국가나 권력에 복종하며 비인간적인 행위를 함께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아이히만은 본인의 일이 국가와 권력에 복종하고,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여겼을 것입니다. 이것은 국가나 권력에 의해 움직이는 사람들이 윤리적 경계를 어떻게 넘어 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아렌트의...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