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개
-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2025.01.051. 볼록렌즈의 초점거리 측정 실험을 통해 볼록렌즈의 초점거리를 측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볼록렌즈의 평균 초점거리는 약 12.5cm로 나타났으며, 이론값과 비교하여 약 5.34%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오차의 주요 원인으로는 상의 뚜렷한 맺힘 기준의 차이, 렌즈 두께에 따른 오차, 거리 측정 방법의 한계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환경 개선, 디지털 측정 기기 활용, 정밀한 거리 측정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2. 오목렌즈의 초점거리 측정 오목렌즈의 초점거리 측정을 위해 볼록렌즈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스크린...2025.01.05
-
[A+][일반물리학실험1] 자유낙하 실험 보고서2025.01.021. 자유 낙하 이번 자유 낙하 실험은 포토게이트에 피켓 펜스를 낙하시킨 후 capstone 소프트웨어에서 얻은 속도-시간 그래프를 통해 기울기 값, 즉 가속도의 값을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에서 얻은 시간 속도 그래프를 통하여 기울기가 일정함, 즉 가속도가 일정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물체가 자유 낙하할 때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10개의 값을 얻었으며 그 값들의 평균값은 9.75 m/s^2로 중력 가속도의 이론값 9.8 m/s^2과 0.714%의 오차율이 발생했다. 표준편차값을 계산하면 0.231이 나왔다...2025.01.02
-
반응속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2025.01.121. 반응 차수 판단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약을 채취하고, NaOH를 넣어 중화되는 양을 구해 시간별 Ethyl acetate 양을 구한 후 반응 차수를 구하기 위해 적분법을 활용한다. 0차 반응은 , 1차 반응은 , 2차 반응의 경우 와 같은 식을 변수 분리 및 적분하여 구할 수 있다. 시간별 Ethyl acetate의 값을 시간에 따라 플럿해보면 k값을 구할 수 있다. 30℃, 45℃, 60℃를 0차로 가정했을 때의 R2값은 0.8717, 0.9405, 0.9673이고, 1차로 가정했을 때 R2값은 0.9028, 0.9474, ...2025.01.12
-
[연세대학교] 공학물리학및실험(1) A+ 족보 _ 3. 일과 에너지2025.01.121. 일-에너지 정리 실험을 통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한 일과 물체의 운동 에너지의 변화량이 같다는 일-에너지 정리를 확인하고, 총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됨을 확인하였다. 추의 중력에 의해 카트가 가속될 때 카트의 위치에 따른 장력의 크기와 속력을 측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2. 역학적 에너지 보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추의 위치에너지 변화량의 음수와 계의 운동에너지 변화량을 비교하여 총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지 확인하였다.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실험 목적은 달성하였다. 3. 오차 요인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으로는 ...2025.01.12
-
[연세대학교] 공학물리학및실험(1) A+ 족보 _ 9. 역학적 파동 결과보고서2025.01.121. 횡파의 정상파 실험 1과 실험 2에서는 줄의 장력, 길이, 진동수를 변화시켜가며 횡파의 정상파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값과 이론값 사이의 오차율이 4% 이내로 거의 일치하여 실험에서 사용한 공식이 실제로도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종파의 정상파 실험 3과 실험 4에서는 공명관 내부의 음파를 이용하여 종파의 정상파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값과 이론값 사이의 오차율이 1% 이내로 매우 작아 실험에서 활용한 음파의 진동수, 파장, 속력 사이의 관계식이 적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실험 오차 요인 실험...2025.01.12
-
[만점 발표 대본] 물리화학실험-기체 상수의 결정 대본2025.01.161. 기체 상수 결정 실험 이번 실험은 이상기체 방정식인 PV=nRT에서 기체상수 R을 실험적으로 도출해내는 실험이었습니다. 따라서 기체 발생장치를 세팅하여 KCIO3를 가열해 O2와 CO2를 형성시켰고, 각 기체의 몰수, 부피, 온도, 압력 등을 측정 및 계산한 후 이상기체 방정식에 대입하는 것이 실험의 주 흐름이었죠. 2. 몰수 계산 KCIO3와 NaHCO3를 가열하면 각각 O2와 CO2가 형성되므로, 따라서 저희는 발생한 O2와 CO2의 무게를 가열 전후의 시험관 무게의 차를 이용해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O2...2025.01.16
-
약한산의 이온화 상수 결정2025.01.171. 약한산의 이온화 상수 결정 이번 실험은 아세트산의 pH를 측정하여 아세트산의 이온화상수인 K_a 값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약한 산을 증류수로 묽히면 산 각각의 이온화도만큼 이온화가 되는데 pH 미터를 이용하여 얻은 pH값으로 수소이온의 농도를 구하고, 산의 원래 농도와 수소 이온의 농도차이를 이용하여 평형상태의 산의 농도를 구한 후 이온화상수 식에 대입하면 이온화 상수 K_a 값을 구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비교하여 52%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부피 측정 및 pH 측정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2025.01.17
-
[A+ 실험보고서] 산염기 적정2025.01.171. 중화반응 화학에서 중화반응은 산과 염기가 서로 만나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화학반응을 의미한다. 중화된 용액의 pH는 반응물의 산성 세기의 의존한다. 중화반응은 많은 용도로 이용된다. 2. 염산 적정 0.1M HCl 수용액 100ml를 0.1M 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당량점에서의 pH 값이 이론값 7.0과 실험값 10.063 사이에 3.063의 오차가 있었다. 3. 아세트산 적정 0.1M 아세트산 100mL를 0.1M 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약산과 강염기는 1:1 반응하므로, ...2025.01.17
-
회전운동 실험 결과보고서2025.01.121. 관성 모멘트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 식을 이용하여 관성모멘트를 구하는 식을 유도하고, 실험 결과를 대입하여 직접 관성모멘트를 구하고 이론 값과 비교해보았습니다. 쇠구슬과 플라스틱 파이프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였으며, 이론 값과 실험 값 사이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도 높은 센서와 각도 측정 도구 사용, 실험 횟수 증가, 일자로만 굴러갈 수 있는 레일 위에서 실험하는 등의 방법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 에너지 보존 법칙 이번 실험에서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2025.01.12
-
결과 부력레포트 [A+]2025.01.221. 아르키메데스 원리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따라 아크릴 실린더가 중성부력을 형성할 때 그 부력의 크기를 평형방정식을 세워 구할 수 있다. 또한, 중성부력을 형성할 때 이론적인 실린더의 질량과 실험을 통해 측정한 질량을 비교해 오차율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차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2. 중성부력 형성 본 실험에서는 아크릴 실린더의 부피를 계산해 중성부력을 형성할 때 이론적인 질량을 계산했다. 또한, 아크릴 실린더에 추를 넣어 형성된 부력의 형태가 어떤 것인지 관찰하며 중성부력이 형성될 때까지 질량을 변화시키거나 실린더의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