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식품미생물학 식품의 부패2025.05.071. 식품의 부패 식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효, 부패, 산패, 변패가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부패에 주로 관여하는 세균에 대해 설명한다. 식품 부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식품의 조성, pH와 산화환원능, 물리적 구조, 천연 항미생물 물질, 온도, 습도, 대기 조성 등을 다룬다. 2. 부패 생성물 식품 부패 과정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인돌, 부티르산 등의 부패 생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3. 부패의 판정 관능적 방법, 미생물학적 방법, 화학적 방법(휘발성 염기질소, 트리메탈아민, 히스타민,...2025.05.07
-
병원성 미생물 실험보고서(그람염색, API kit,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 정성검사)2025.01.221. 그람염색 그람염색 실험을 통해 검체 김밥에서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이 검출되었고, 검체 샌드위치에서는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해당 식품에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API kit API kit 실험 결과, 살모넬라균이 아닌 다른 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의심되었다. 이를 통해 식품 내 병원성 미생물의 정확한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 정성검사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 정성검사 결과, 고인 빗물 샘플에서 총대...2025.01.22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의 검출 및 균수측정법2025.05.071. 균수측정법 총균계수법, 생균계수법, 표준평판계수법, 최확수법 등 다양한 균수측정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방법의 원리, 장단점, 실험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선택배지와 분별배지 선택배지는 특정 미생물의 성장을 돕거나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특정 미생물만 자랄 수 있는 배지입니다. 분별배지는 특정 미생물과 다른 미생물의 콜로니를 구별할 수 있는 배지입니다. 3. 종균배양기술 미생물의 존재 확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차 증균배양과 2차 선택적 증균배양을 통해 선택배지...2025.05.07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MPN법을 이용한 Coliform 정량실험2025.05.131. MPN법 MPN법은 Most Probable Number Method로 통계확률과 일부의 생장과 관련된 변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시료 내의 세균 수를 세는 방법이다. 주로 먹는 물의 안전성을 측정할 때와 오염도가 낮을 때, coliform과 같은 지표미생물을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이 방법은 특정 생장 매개변수에 대한 통계표가 존재할 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2. EC broth EC broth는 Escherichia coli를 위한 선택배지이며 한천이 없는 액체배지로, 추정시험에서 사용된다. Lactos...2025.05.13
-
식품미생물학실험 결과보고서 - 우유에서의 methylene blue 환원효소 시험법2025.05.131. 우유에서의 methylene blue 환원효소 시험법 우유 표본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의 신진대사능을 측정함으로써, 우유의 질을 판정하는 방법. 메틸렌블루가 탈수소효소에 의해 환원 탈색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우유에 메틸렌블루를 넣고 우유 내의 세균이 생산하는 탈수소효소로 색소가 환원 탈색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세균오염도를 추측하는 방법. 2. 산화 환원 지시약 메틸렌 블루 산화 환원 지시약은 색깔의 변화를 통해 주위 환경의 산화 환원 전위의 변화를 반영하는 유기염색 시약. 메틸렌 블루는 주위 환경의 산화 환원 전위 (Eh) 가 +11...2025.05.13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PCA 제조와 손의 균 배양2025.05.131. PCA 제조 이번 실험의 목적은 직접 plate count agar을 제조해보고, petri dish에 손의 소독 전과 후의 세균을 배양하는 것이다. PCA를 물과 영양분을 섞어 삼각 플라스크에 담은 뒤, magnetic bar와 함께 가열해준다. 잠시 식힌 배지를 autoclave에서 멸균한 뒤 petri dish에 담아 굳힌다. 이 petri dish를 반으로 나누어 한 쪽에는 소독하지 않은 손을, 다른 쪽에는 소독한 손을 이용하여 균을 묻힌 뒤 배양한다. 2. 손의 균 배양 실험 결과에 큰 오차의 원인이 존재했다. 손의 ...2025.05.13
-
[식품미생물학-방송통신대-24-2학기-출석수업과제물]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절대혐기성균, 대장균수 산출2025.01.26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w)는 식품 내 자유 수분의 비율을 나타내며, 물리적으로 식품 내 물이 얼마나 이용 가능한지를 의미한다.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저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수분활성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의 생육이 촉진된다. 실생활에서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인 예로는 건조법, 염장법, 당장법, 냉동 및 냉장 등이 있다. 2. 절대혐기성균 절대혐기성균(obligate anaerobes)은 산소가 없는 무산소 조건에서만 생육할 수 있는 ...2025.01.26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의 역사와 발전2025.05.071. 미생물의 정의, 종류, 특징, 필요성 미생물은 인간에게 유익하게 이용되거나 해를 끼치면서 여러 환경 하에서 증식과 사멸을 반복하는 작은 생물입니다. 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조류 등이 포함됩니다. 미생물은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며 지구 상 어느 곳에서나 분포하는 한 미세한 단세포 생물입니다. 미생물은 기초생물학과 응용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미생물학의 세부 분류 미생물학은 순수미생물학, 응용미생물학, 병원미생물학으로 세부 분류됩니다. 순수미생물학은 세포학, 형태학, 생태학, 분류학,...2025.05.07
-
식품미생물학 버섯2025.05.071. 버섯의 형태와 구조 버섯은 균류 중에서 대형 자실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버섯의 본체는 토양이나 나무 또는 배지 속으로 뻗어 있는 미세한 균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버섯의 형태는 곰팡이와 유사하여 자실체, 균사체, 균사 등 조직의 분화가 이루어진 고등 미생물입니다. 버섯의 가장 흔한 형태는 우산 모양이며, 포자가 발아하여 균사체, 균뢰, 균병, 균륜, 균산 등의 구조로 발달합니다. 갓 뒤면에는 자실층이 생겨 담자기를 형성하여 담자포자를 착생합니다. 2. 버섯의 생활사 버섯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실체에 형성된 ...2025.05.07
-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A+예비레포트] 유산균 음료로부터 미생물 분리 평판 계수법2025.01.121. 유산균 분리 및 배양 이 실험에서는 유산균 음료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고 평판 계수법을 이용하여 유산균의 수를 측정하였습니다. 유산균은 젖산발효를 통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로,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BCP 배지와 MRS 배지를 사용하여 유산균을 선택적으로 배양하고 정량하였습니다. 또한 무균 조작법, 멸균 기법, 미생물 계수법 등의 기본적인 미생물학 실험 기술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2. 미생물 생장 곡선 미생물의 생장 곡선은 크게 4단계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유도기로, 새로운 배지에 접종...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