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용존산소(DO) 적정법을 이용한 수질오염공정시험2025.11.141. 용존산소(DO)의 정의 및 영향 요인 용존산소(DO)는 물 또는 용액 속에 녹아있는 분자상태의 산소의 양을 의미하며 주로 ppm 단위를 사용한다. DO의 양은 수온, 기압, 물 속 유기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온이 높아지면 양이 적어지고 공기 중 산소가 많아지면 증가한다. 물 속 식물의 광합성량이 증가할수록 DO는 커지며, 수심이 얕고 유속이 빠를 때 DO가 증가한다. 하천 상류의 깨끗한 물에는 거의 포화에 가까운 DO가 들어 있으나 오염물질로 인해 양이 점점 적어진다. 2. 수질과 용존산소의 관계 물의 자정작용과 수중생...2025.11.14
-
물의 COD 측정2025.01.141.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는 물의 오염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물 속에 있는 유기물과 아질산염이나 황화물 같은 환원성 무기물을 강력한 산화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ppm(mg/L)으로 나타낸 값입니다. COD는 수중의 피 산화성 물질, 주로 유기물이 산화되어 무기산화물과 기체가 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산화제에 대응하는 산소량을 ppm으로 나타냅니다. 2. BO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Biochemical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