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아동기 대표 질환 및 간호2025.05.071. 폐렴(pneumonia) 폐렴은 폐 실질의 급성 감염으로, 바이러스성과 세균성 폐렴을 임상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체이지만, 세균성 폐렴 아동이 좀 더 아프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이나 낭성섬유증, 선천성 결함, 이물질 흡인 등의 만성·급성 질환 아동에서 폐렴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간호중재로는 호흡노력 돕기, 폐 배액 증진, 산소요법, 수액요법 등이 있다. 2.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모세기관지염은 1세 미만 영아가 입원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가 가장...2025.05.07
-
아동 급성인두편도염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진단2025.11.141. 급성인두편도염의 정의 및 분류 인두편도염은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으로 분류된다. 바이러스성 인두편도염은 대증요법으로 치료되지만, 세균성 인두편도염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조기 치료 시 급성 류마티스성 열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세균성 감염의 경우 빠른 호전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항생제 투여가 중요하다. 2. 인두편도염의 원인 병원체 바이러스성 인두편도염의 원인은 아데노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다. 세균성 인두편도염은 β용혈...2025.11.14
-
아동 폐렴 간호 사례 연구 및 임상 실습2025.11.171. 세균성 폐렴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폐렴은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으로 아동에게 흔히 발생한다. 세균성 폐렴에서는 감염부위로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확장 및 투과성이 증가되며 호중구가 활성화되어 침입한 균을 탐식한다. 액체성 삼출물이 폐포를 채우면서 경화로 나타나고 산소 확산 장애로 저산소증 증상이 발생한다. 임상증상은 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통, 비익확장, 청색증 등이 나타나며 위장관계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2. 폐렴의 진단 및 치료 폐렴은 병력, 검사소견,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를 근거로 진단한다. 원인균 확인을 위...2025.11.17
-
성매개성 질환 정리2025.01.151. 세균성 감염 매독은 Treponema pallidum 균에 의해 발생하며, 성기, 항문, 구강 내 점막으로 침입하여 혈류와 림프를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태아는 태반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1기에는 경성하감, 2기에는 편평콘딜로마와 장미진이 나타나며, 잠복기에는 무증상이다. 3기에는 고무종이 발생한다. 페니실린으로 치료하며, 과민한 경우 erythromycin, doxycycline, tetracycline을 사용한다. 2. 임질 Neisseria gonorrhoeae 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성교를 통해 감염된다. 남성은...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