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문법 표현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와 교수방법2025.01.131. -지 말다 '-지 말다'는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함을 나타내며, 명령형과 청유문에만 사용한다. 하지만 '바라다, 기도하다, 빌다'와 같이 기원이나 바람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 앞에서는 예외적으로 서술문이나 의문문에서도 가능하다. 학습자들에게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금지되는 행위'을 나타내는 문장을 작성하도록 하거나, 시청각 자료와 관련한 '-지 말다'의 문장을 만들어 보도록 할 수 있다. 2. -지 않다 '-지 않다'는 어떤 행위 및 상태의 부정,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부정하는 뜻으로 나타낸다. 서술문(평서문)...2025.01.13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151.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 이 문법 표현은 앞에 오는 동사 표현을 부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형태 통사적으로는 동사의 어간에 '-지'를 붙여 활용되며, '-지 말다'는 부정적인 명령이나 제한을, '-지 않다'는 동작이나 상태의 부정을, '-지 못하다'는 능력이나 가능성의 제한을 나타냅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문법 설명과 예시 제시, 문장 만들기 연습, 문장 해석, 문법 활용 게임, 상황 극 표현하기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게 하다 이 문법 표현은 앞말의 행동을 시키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을...2025.01.1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2025.01.231. '-지 말다'와 '-지 못하다'의 문법적 특성과 교수법 '-지 말다'는 특정 행동을 하지 말 것을 명령하거나 권유하는 표현이며, '-지 못하다'는 어떤 행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두 표현 모두 부정의 의미를 가지지만, 각각의 쓰임새와 의미가 다릅니다. '-지 말다'는 주로 명령이나 권유 상황에서 사용되며, '-지 못하다'는 어떤 이유로 인해 특정 행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두 표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문과 연습 활동을 통해 지도해야 합니다. 2. ...2025.01.23
-
한국어 문법 표현의 이해와 교육 방법2025.01.041. 부정 표현 '-지 않다' '-지 않다'는 한국어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부정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문장의 뜻을 완전히 반대로 만듭니다. '-지 않다'의 형태통사적 특성은 문장의 주어와 시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다'는 '하지 않다'로, '가다'는 '가지 않다'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어의 일관된 문법 규칙을 따릅니다. 학습자들은 듣기와 말하기 활동을 통해 이 문법 표현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사동 표현 '-게 하다' 사동 표현 '-게 하다'는 누...2025.01.04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사동 표현과 부정 표현의 교수 방법2025.01.291. 사동 표현 사동 표현은 주동사에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등이 붙어 이루어지는 접미 사동과 주동사에 '-게 하다'가 붙어 이루어지는 통사적 사동이 있다. 사동 표현에는 많은 제약이 있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데, 교수는 사동 표현을 문장과 함께 제시하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 보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부정 표현 한국어의 부정문은 부사 '안'이나 '못'이 붙거나 보조용언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등이 붙어 부정을 나타낸다. '안' 부정법과 '못' 부...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