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우리나라와 서양의 전통적 양육사상의 흐름 정리 및 비교2025.01.131. 우리나라의 전통적 양육사상 한국 전통사회는 가부장적 가족체계 속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했다. 아버지는 가족의 대표자로서 모범적 행동과 가치관을 보이며, 자녀의 훈육과 장래를 담당했다. 자녀는 아버지의 엄격한 훈육을 통해 사회규범을 익히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와 부부의 동등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2. 서양(영국)의 전통적 양육사상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자녀의 자연적 후견인이 아버지였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어머니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1839년 'Justice Talfourd's Ac...2025.01.13
-
[부모역할] 모성실조, 부성실조2025.01.161. 부성실조 부성실조(deprivation of fathering)란 아버지의 사망, 이혼 등으로 인한 부성의 상실(father loss) 또는 유학이나 취업 등으로 아버지와 분리되어 있거나, 아버지는 있지만 부부 간의 불화나 성격장애, 질환 등으로 올바른 아버지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부성이 실조된 상태를 부성실조 환경이라 하며, 부성실조 아동은 지적, 사회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 등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2. 모성실조 모성실조(maternal deprivation)는 어머니로부터 받아야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