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심장내과 약물 사용2025.01.051. 항혈소판제 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동맥에 작용합니다. P2Y12 억제제로는 Clopidogrel, Ticlopidine, Prasugrel, Ticagrelor 등이 있으며, 기타 항혈소판제로는 Cilostazol, Triflusa, Sarpogrelate 등이 있습니다. 2. 항응고제 응고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섬유성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DOAC(CHA2DS2-VASc score 2점 이상)로는 Argatroban, Bivalirudin, Lepirudin, Riva...2025.01.05
-
(A+극찬)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2025.01.131.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말한다. 주요 증상은 흉통, 호흡곤란, 불안, 오심과 구토 등이 있으며, 치료는 혈전용해요법,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등이 있다. 약물 치료로는 항혈소판제, 베타차단제, ACE억제제 등이...2025.01.13
-
경구 혈압약(고혈압, hypertension) 약제 총 정리2025.01.091. 이뇨제 이뇨제는 가장 오래된 고혈압 약제 중 하나로, 체내의 수분과 염류 배설을 촉진하여 혈장량을 감소시키고 강압 효과를 나타냅니다. 다양한 종류의 이뇨제가 있으며,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전해질 불균형, 통풍 발작, 혈당 증가 등이 있으며, 주의점으로는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 운전 및 기계 조작 시 주의, 정기적인 체중 측정 등이 있습니다. 2. 베타차단제 베타차단제는 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여 감압 효과를 일으킵니다. 심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고혈압 환...2025.01.09
-
심장내과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주요 주사제2025.01.021. 강심제 강심제에는 디지탈리스(Digitalis)와 도부타민(Dobutamine)이 있습니다. 디지탈리스는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늘리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부타민은 심장 질환이나 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의 단기 치료에 사용됩니다. 2. 혈관확장제 혈관확장제에는 이소소르비드(Isosorbide)가 있습니다. 이소소르비드는 심부전, 협심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3. 칼슘채널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에는 딜티아젬(Diltiazem)과 니카르디핀(Nicardipine)이 있습니...2025.01.02
-
중환자실 약물 ( 응급약물, 승압제, 칼슘차단제,베타차단제) 필수 암기 약물2025.01.171. Calcium Channel Blocker (CCB,칼슘통로차단제) 칼슘통로를 통해 들어오는 칼슘을 차단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약물. 대표적인 약물로는 Diltiazem (헤르벤), Verapamil (이솝틴), Nicardipine (페르디핀), Amlodipine (노바스크), Nimodipine (니모디핀) 등이 있다. 2. Bata Blocker (BB, 베타차단제) 교감신경 베타수용체를 차단하여 심근수축력과 맥박수를 감소시키는 약물. 혈압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