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노동법의 법원과 취업규칙 변경,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의 의의2025.01.111. 노동법의 법원 노동법의 법원에는 노동 관련 국제 협약, 헌법, 노동관계 지방자치 법규, 노사자치규범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 법원은 상위법 우선의 원칙, 신법 우선의 원칙, 특별법 우선의 원칙, 유리한 근로조건 우선의 원칙에 따라 적용됩니다. 유리한 근로조건 우선의 원칙은 하위 법원이 근로자에게 더 유리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면 이를 우선 적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 요건 취업규칙은 사용자가 근로계약에 적용되는 근로조건이나 근무규칙을 명시한 규정입니다. 취업규칙을 불리하게 변경하려면 근로자 과반수를 ...2025.01.11
-
법적용에 있어서 원칙법과 예외법, 강행법과 임의법, 신법과 구법의 적용순서2025.01.161. 원칙법과 예외법 원칙법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법이며, 예외법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원칙법을 배제하고 적용되는 법이다. 예외법은 원칙법과 달리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함부로 확장해서는 안 된다. 2. 강행법과 임의법 강행법은 당사자 의사와 관계없이 적용되는 법으로 공법 영역에 해당하며, 임의법은 당사자 의사에 따라 적용 여부가 결정되는 법으로 사법 영역에 해당한다. 강행법과 임의법은 법문의 표현, 법이 가지는 가치 등을 고려하여 구별할 필요가 있다. 3. 신법과 구법 신법은 새로 제정된 법, 구법은 신법에 의해 폐지되는 법...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