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중국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2025.01.22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평음, 격음, 경음을 혼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어중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하고, 치경경구개음을 치경음으로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보입니다. 모음 발음에서는 /ㅡ/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ㅓ/ 또는 /ㅗ/와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중모음 /ㅢ/의 어두 발음도 적절히 하지 못합니다. 2.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종성 자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예를 들어 '감'을 '간'으로, '밤'을 '반'으로 발음하는 ...2025.01.22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자음 발음2025.01.211.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 비교 한국어는 장애음 15개와 공명음 6개로 구성되며, 장애음의 경우 조음 위치상 양순, 치조, 연구개, 경구개, 성문의 5개 음성영역을 사용한다. 폐쇄음은 양순, 치조, 연구개의 세 군데, 파찰음은 경구개 한 군데, 마찰음은 치조와 성문 두 군데를 사용한다. 2. 일본어 자음 체계 일본어 자음 체계는 한국어에 비해 단순하며, 장애음 9개와 공명음 5개로 구성된다. 조음 위치상 양순, 치조, 연구개, 성문의 4개 영역을 사용하며, 폐쇄음은 양순과 연구개의 두 군데, 마찰음은 치조와 성문의 두 군데를...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