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정몽주와 정도전의 사상적 차이와 역할2025.01.151. 정도전의 사상 정도전의 사상적 바탕은 주자학이었으며, 현실주의 성리학과 천명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윤리를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지향했으며,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생각했다. 또한 군주의 정당성은 천명과 민심에서 나온다고 믿었으며, 이는 조선 건국의 핵심 명분이 되었다. 2. 정몽주의 사상 정몽주의 사상적 바탕은 주자학이었으며, 이상주의 성리학과 정명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명분이 바로 잡히지 않으면 사회질서와 민생안정이 없다고 생각했으며, 유학에서 말하는 인의예지와 오륜으로 실천윤리적인 도...2025.01.15
-
동서양고전의 이해 - 황종희의 『명이대방록』 감상2025.01.241. 황종희의 『명이대방록』 『명이대방록』은 황종희가 53세부터 집필을 시작해 1년 만에 완성한 글로, 명말 청초 시기의 정치, 사회경제적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황종희는 명나라 유민 신분으로 청나라에 살면서도 자신의 주관을 확고히 하고자 했으며, 이 책에서는 전제군주제에 대한 비판과 분권 통치, 민본주의 등 혁신적인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황종희의 철학사상과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를 살펴볼 수 있다. 1. 황종희의 『명이대방록』 황종희의 『명이대방록』은 17세기 조선 후기의 저명한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황종희가 저술한 ...2025.01.24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황종희 명이대방록 7장 황종희 명이대방록을 가장 감명 깊게 읽었다. 이 책은 유교의 근본정신인 민본(民本)을 극한으로 강화했으며 실용적이고 독창적인 경세(經世)의 방법을 제시했고 공사(公私)관과 공공(公共) 개념을 명확히 규명했으며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세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지평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특히 '천하의 백성이 주인[主]이고, 군주가 객[客]이었는데, 무릇 군주는 일생 동안 천하를 위해 경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군주가 주인이고 천하의 백성이 객이 되어서 무릇 천하의 어느 곳도 평안하지 못한 것은 다 군...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