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동서양의 인어2025.01.281. Oannes 바빌로니아 역사서에 기록된 최초의 인어 기록. 4세기 BCE의 바빌로니아 신으로, 물고기-인간 생물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문자, 예술, 과학을 가르쳤다. 2. Atargatis 달과 여성의 힘, 물의 여신. 남편 하닷의 죽음을 죄책감으로 아스칼론 근처 호수에 빠져 죽었고, 아름다움이 물에 가려지지 않아 인어로 변했다. 3. Siren 바다의 여신으로, 상반신은 여성, 하반신은 물고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노래로 선원들을 유혹해 바다에 빠뜨렸다. 스타벅스 로고의 모티브가 되었다. 4. Merrow 아일랜드 민속설화...2025.01.28
-
한국의 신화2025.05.071. 신화의 정의 신화는 우주의 기원, 초자연적 존재의 계보, 민족의 시원 등과 관련된 신에 대한 서사적 이야기를 뜻한다. 우리나라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신화를 '우리 신화'라 칭하기도 한다. 옆집이나 뒷산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처럼 친근하게 다가오면서도 현실 세계와는 다른 무속 세계에서 펼쳐지는 꿈같은 분위기가 특징이다. 현대에는 시대별, 지역별 한국 신화의 근원소들을 연결하고 특유의 구전 문학이 지닌 특징에서 가치를 재발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신화의 특징 신화는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종교적 교리 및 의례의 언어적 진술...2025.05.07
-
신화의 재구성2025.05.031. 신화, 전설, 민담의 특징 신화, 전설, 민담은 저자가 불분명하고 오랫동안 전해져 온 이야기로,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신화는 숙명론적이며 초자연적 존재를 다루고, 전설은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기반으로 하지만 내용이 변질되며, 민담은 교육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생존 기술과 가치관을 전수한다. 2. 신화, 전설, 민담의 개작 신화, 전설, 민담을 현대적 상황에 맞게 개작할 때는 마법적 요소를 배제하고 현대인에게 익숙한 규범의 세계를 배경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주인공의 행동 동기와 플롯의 신빙성을 높여야 한다. 3. 미...2025.05.03
-
설화 문학의 개념과 특징,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2025.05.091. 설화 문학의 개념 설화 문학은 한국의 전통 문학 장르 중 하나로, 예로부터 한반도에서 전해져온 이야기들을 담은 문학 형식이다. '설화(說話)'는 말이라는 뜻으로, 설화 문학은 구어와 이야기가 밀접하게 결합된 형태의 문학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설화 문학은 평범한 사람들이 일상적인 언어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그 속에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 가르침이 담겨있다. 2. 신화, 전설, 민담의 특징 신화는 일상적 경험의 합리성을 넘어 우주의 기원을 다루거나 자연 및 사회 현상의 근원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전설은 사실성을 강조하고 특정 지...2025.05.09
-
민속문학의 이해2025.05.121. 한국 민속놀이의 종류 한국 민속놀이에는 투호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등이 있다. 이러한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발생하여 오랜 세월동안 전해 내려오는 그 지역의 생활 및 풍속을 반영한 놀이로, 경쟁의식, 유희성, 오락성, 예술성 등을 담고 있다. 민속예능은 민속의 그 대상층인 민중에게 생산자와 감상자로 존재하며, 민속미술, 민속음악, 민속연희 및 민속무용으로 유형화된다. 2. 한국 신화의 서사적 특징 한국 신화에서는 신성한 존재나 타자가 등장하며, 인물들이 수행하는 행위가 범상인들이 할 수 없는 신이한 것들이다. 신화의 서사 전개 ...2025.05.12
-
민속문학의 특징과 설화에 대한 생각2025.01.211. 민속문학의 특징 민속문학은 오랜 기간 동안 민간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 문학 형태로, 우리 민족의 생활과 풍습을 담고 있습니다. 민속문학에는 신화, 전설, 민담, 속담, 무가 등이 포함되며, 주로 민중들이 향유했던 기층 문학이자 구비문학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속문학은 민족 정서를 내포하고 있으며, 역사적 변화성과 공동체적/문화적 성격을 보여줍니다. 또한 해당 시대의 생산문화와 관련성이 높습니다. 2. 설화에 대한 생각 설화(신화, 전설, 민담)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를 계승하고, 민족의 단합과 단결을 이끌어내는 문학...2025.01.21
-
설화 문학이란 무엇이며, 이를 구성하는 '신화, 전설, 민담'의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하여2025.01.201. 설화 문학의 개념 설화는 구비문학의 한 갈래이며, 신화, 전설, 민담 등을 포함한다. 설화는 부정형으로 구전되어 온 집단 의식의 공동작이고, 민중의 상상력, 신앙, 역사, 관습, 세계관, 행동과 감정 표현, 주체적인 생활상, 꿈과 희망, 원시적 및 종교적인 신앙과 풍습의 잔재를 포함하고 있다. 2. 신화, 전설, 민담의 특징 신화는 신에 관한 이야기로, 신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신이 된 이후의 활동이 주요 소재이다. 전설은 자연물, 건축물, 유물 등과 관련된 진실되다고 여겨지는 이야기이다. 민담은 신성하지도, 진실되지도 않지만 ...2025.01.20
-
한국 설화의 개념과 대표 작품 분석2025.01.241. 설화의 개념과 특징 설화는 한국 문학의 초기 형태로, 주로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로 구성된 문학 장르이다.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주제와 형식을 가진다. 설화는 구전 문학의 특성상 변형 가능성이 크며, 당시 사람들의 사상과 신념을 반영한다. 2. 단군 신화 단군 신화는 한국 설화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신화로, 한국 민족의 기원과 국가의 형성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이 신화는 고대 한국인들의 신에 대한 경외심과 통합적인 세계관을 보여준다. 3. 흥부전 흥부전은 한국 민담 중에서도 매우 유명한 ...2025.01.24
-
러시아의 동화 '눈 아가씨'2025.01.171. 눈 아가씨의 신화적 배경 신화에서의 눈 아가씨는 추위와 겨울, 러시아의 봄 맞이 행사인 마슬레니쨔와 비교되며 범인간적인 아름다움을 지녔으나 인간성은 찾아볼 수 없는 신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2. 눈 아가씨의 민담적 특성 민담에서의 눈 아가씨는 인간세상에서 성장하며 보다 평범한 소녀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동물과 대화가 가능한 설정이 주어지지만 이는 인물의 신성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닌 재미있는 전개를 위한 것이다. 3. 희곡 '눈 아가씨' 희곡 '눈 아가씨'는 민담에 기반하여 창작된 작품으로,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러시아의...2025.01.17
-
유럽의 민담 평면성2025.05.071. 민담의 평면성 민담에서는 세속과 신성한 세계 사이에 거리감이 없고, 전체적인 구성에도 깊이가 없다. 민담의 등장인물들은 입체성, 내면의 세계, 주위세계가 없는 형상들이고 전대나 후세 모두 그들은 시간 전반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민담의 이러한 특징을 평면성이라고 한다. 민담에 나오는 선이나 평면적인 형태의 사물들은 금속처럼 변화가 없고 아주 특별하거나 모험적인 상황에서만 나타나고 그것도 단 한 번만 쓰인다. 이와 비슷하게 민담에 나오는 인간과 동물들에게도 육체적, 정신적 깊이가 없고, 고통의 종류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또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