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동의보감_내경편_한자독음+한글해석_원서공부2025.01.101. 신형 형기의 시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형기가 갖추어지면 아(痾)가 생기고, 아는 채(瘵)이며 채는 병을 말하는 것으로 병이 이로부터 생긴다고 하였다. 2. 태잉지시 잉태의 시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태아가 발달하는 과정을 월별로 자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태아가 완성되는 시기와 그에 따른 예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3. 사대성형 사대(地水火風)가 합하여 사람의 형체를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각 대(大)의 특성과 역할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4. 인기성쇠 사람의 나이에 따른 기의 성쇠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2025.01.10
-
허준의 의서_탐구보고서_한국사(세특)2025.01.111. 신찬벽온방 신찬벽온방은 1613년 허준이 광해군의 명령으로 작성한 전염병 치료 전문 의서입니다. 이 책은 전염병의 원인, 증상, 치료법 및 예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일반 백성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용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2. 벽역신방 벽역신방은 1613년 봄 당독역이 유행하자 허준이 내의원 의관들과 함께 작성한 전염병 진단, 치료, 예방 관련 의서입니다. 이 책은 현재까지도 한방 의학에서 성홍열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3. 조선시대 전...2025.01.11
-
동의보감_외형편_한자독음+해석본2025.01.101. 두 머리는 천곡이며 신을 간직한다. 천곡은 조화를 머금고 허공을 담으며, 땅의 계곡은 만물을 담고 산천을 싣고 있다. 사람은 천지와 부여받은 것이 같아서 또한 계곡을 가지고 있다. 그 계곡에는 진일(眞一)이 간직되고 원신이 머무른다. 그래서 머리에는 구궁(九宮)이 있어 위로 구천(九天)과 상응한다. 그 중심에 있는 일궁(一宮)을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하는데, 또 황정(黃庭), 곤륜(崑崙), 천곡이라고도 한다. 그 부르는 이름은 많지만, 모두 원신(元神)이 머무는 집을 가리킨다. 계곡과 같은 공간에 신이 거처하기 때문에 곡신(谷...2025.01.10
-
의학 ) 현대적 의료행위(치루의 외과적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매칭되는 고전적(전통적) 근거 찾기, 치루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고전적 근거 고찰2025.01.201. 치루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고전적 근거 고찰 동의보감에 따르면 치루는 고름을 빼고 그 고름으로 인해 내공이 생겼을 경우에는 이를 막아야 한다는 점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치루의 내부에 발생한 원발구를 제거하고, 이를 봉합해야 하는 방법을 명확히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진 피판술(Advancement flap technique)와 유사하다고 여겨진다. 전진 피판술의 경우 원발구나 원발소를 제거한 후, 내공을 봉합한 다음에 직장 점막피판 또는 항문 피부 피판을 이용하여 내공을 덮어줘 내측으로부터 봉합 부위를 보존하고, ...2025.01.20
-
조선후기의 의학과 역법2025.01.191.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지은 의서로, 총 25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경편, 외형편, 잡병편, 탕액편, 침구편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실증적 자세와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되었습니다. 동의보감은 동방 의학을 총집성하고 우리 민족의 한의학을 집대성한 중요한 의서입니다. 2. 종두법 조선후기에 정약용, 박제가, 이종인 등이 종두법 보급에 힘썼습니다. 이들은 천연두 예방과 치료에 대해 연구하고 실험하였으며, 종두법의 보급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이후 지석영에 의해 우두법이 보급되는 데 기여하...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