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퇴계 이황의 자연관2025.01.031. 퇴계 이황의 자연관 퇴계 이황은 그가 살았던 16세기 시대를 태평성대로 여기고 있었다. 그는 연산군 7년(1501년)에서 선조 3년(1570년)까지 생존하며 어려운 시기를 다 겪은 인물이었다. 당시는 이조 체제의 완성기이면서 내적 모순이 표출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회적 병폐가 야기된 시기였다. 하지만 퇴계는 강호에 유유자적하면서 천수를 누리며 허물이나 없기를 바라는 소박한 소망을 가지고 있었다. 퇴계의 현실관은 대체로 가능한 한 밝은 면을 보고, 따뜻한 애정을 가지고 보아야 한다는 것으로, 「도산십이곡」에는 이러한 현실 인식이 ...2025.01.03
-
16세기의 시조2025.01.281. 16세기 시조 16세기에는 당쟁이 가열되면서 유학자들이 심리적 갈등을 표현한 시조들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서경덕과 권호문의 작품이 있습니다. 또한 자연에 대한 고아한 품격을 나타내는 작품도 등장했는데,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대표적입니다. 이 외에도 강호가, 오륜가류, 기녀들의 작품 등이 16세기 시조 문학을 대표합니다. 2. 도산십이곡 도산십이곡은 조선 명종 때 이황이 지은 연시조로, 모두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앞의 6곡은 자연에서 느끼는 심정을, 뒤의 6곡은 학문을 닦고 수양하는...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