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2025.01.041. Gram staining Gram staining은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이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지 않고 보라색으로 관찰된다. 반면 그람음성균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펩티도글리칸을 가지며 지질 다당질, 지질 단백질 등으로 구성된 외막을 가지고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어 붉은색으로 관찰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Gram staining을 통해 채취한 균주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2. Streak plate meth...2025.01.04
-
미생물 고체 배지 만들기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2025.01.041. 미생물 고체 배지 만들기 이 실험은 미생물 고체 배지를 만드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Luria Bertani (LB) 고체 배지를 만드는 방법으로, 증류수에 NaCl, Yeast extract, Tryptone, Agar를 넣고 멸균하여 petri dish에 부어 굳히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고체 배지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됩니다. 2. 도말법 이 실험에서는 미생물 배양을 위한 도말법도 다루고 있습니다. 도말법은 미생물 시료를 고체 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펴 바르는 기술로,...2025.01.04
-
미생물 배양 배지 만들기, 배양 및 관찰2025.01.031. 미생물 미생물은 매우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로, 원생생물,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며 유전적, 생리적, 생화학적, 생태학적으로 다양성을 보인다. 미생물은 원핵미생물과 진핵미생물로 나뉘며, 원핵미생물은 핵막이 없고 핵산이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단세포 생물이고, 진핵미생물은 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가진 곰팡이나 효모 등이 포함된다. 2. 배양 미생물의 특징을 알아내거나 증식을 위해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배양이란 미생물을 온도, 산소 등 적당한 조건에서 증식시키는 과정이며 액체배양과 고체배양이 있다. 배...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