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A+ 레포트] 데이터통신 - 네트웍 장비 중 허브,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에 대해 설명하시요.2025.01.141. 허브 허브는 네트워크 내 여러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허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송 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브리지 브리지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여 네트워크 내 데이터 충돌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브리지만으로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어렵습니다. 3. 라우터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네트워크...2025.01.14
-
데이터통신_무선 매체의 종류와 무선 매체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271. 방송형 무선 라디오파 방송형 무선 라디오파는 모든 방향으로 전파가 가능하며, 벽을 통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빛의 속도인 초당 30만km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수신 장치 없이도 효과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특히, 기지국을 중심으로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제공에 유리합니다. 그러나 전송 경로의 손실과 인접 채널과의 간섭 등으로 인해 디지털 통신에서는 낮은 전송률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지상 마이크로파 지상 마이크로파는 동축케이블과 같은 유선 전송 매체 대신, 원형의 접...2025.01.27
-
[A+레포트] 라우팅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131. 라우팅의 개념 및 중요성 라우팅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패킷이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네트워크의 여러 라우터를 통해 수행되며, 각 라우터는 패킷을 다음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데 필요한 결정을 내립니다. 라우팅의 주요 목적은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의 변화하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라우팅의 중요성은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네트워크의 성능, 가용성, 신뢰성, 보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2025.01.13
-
[A+]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각 계층 기능 및 비교2025.01.241. OSI 모델 OSI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ISO(국제표준화기구)가 개발한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화하여 통신 과정을 체계적으로 나눕니다. 7계층으로 구성된 이 모델은 각각의 계층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가 송신자에서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기술의 통합과 확장을 용이하게 합니다. 2.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인터넷과 같은 ...2025.01.24
-
[만점]OSI 7계층을 나눈 이유에 대해 PC 사용 중 인터넷 연결이 끊긴 경우를 예로 설명하시오2025.01.131. OSI 7계층 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개방형 시스템이라는 뜻이며 OSI 7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통신 모델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OSI 7계층은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쉽고, 특정 계층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계층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 ...2025.01.13
-
IP 프로토콜의 헤더 구조와 필드 역할 설명2025.01.271. IP 헤더의 구조 IP 헤더(Internet Protocol header)는 IP 프로토콜 패킷의 시작 부분에 있는 컴퓨팅 정보를 말한다. IP 헤더의 구조는 Version Number, Header Length, Service Type, Packet Length, Identification, Flags, Fragment Offset, Time to Live(TTL), Transport Protocol, Header Checksum, Source Address, Destination Address, Options, Paddin...2025.01.27
-
학점은행제, 93점) 데이터통신 과제 - 네트워크 연결, 통신장비들의 네트워크적 특성2025.01.161. 공유기 공유기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이 적용된 장치이다.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뜻하며 IP 패킷에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 재기록하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게 하는 기술이다. 그래서 여러개의 Network Address를 가지고 있으며 정확히는 인터넷 공유기 보다는 IP 주소 공유기라고 부를 수 있다. 2. 셋톱박스 셋톱박스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로 일반 TV와는 별도로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가...2025.01.16
-
데이터 통신 방식 과제(CDMA, FDMA, TDMA)2025.01.171.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주파수를 쪼개 다른 주파수로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이터 통신 방식입니다. 전화나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아날로그 1세대 휴대폰, 택시회사 및 트럭 업체, 긴급 서비스업에서 이용하는 양방향 무선 시스템에서 이용되었습니다. 2.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는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시간대를 쪼개 다른 시간대에 같...2025.01.17
-
무역자동화와 EDI2025.01.211. EDI의 구성요소 EDI의 구성요소에는 EDI 표준, 사용자시스템, EDI 네트워크가 있다. EDI 표준은 전자문서와 통신방법의 표준화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시스템은 전자문서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의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모뎀을 의미한다. EDI 네트워크는 전자문서를 전달하기 위한 직접통신망과 제3자 네트워크로 구분된다. 2. EDI 당사자 EDI 당사자에는 EDI 사용자그룹과 EDI 네트워크그룹이 있다. EDI 사용자그룹은 송신자 그룹과 수신자 그룹으로 구분되며, EDI 네트워크그룹은 사용자 그룹 간 문서와 ...2025.01.21
-
네트워크 구조(버스, 토큰링, 별 구조)에 대한 조사2025.01.211. 버스 구조 버스(Bus) 형의 구조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기기가 Multi-to-Point 회선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공통된 배선을 기기들의 가운데에 공통으로 두고 여기에 모든 기기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버스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각 기기가 원할 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 받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특정한 기기의 상태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상태가 변하지 않고, 버스에 참여하는 기기들의 통신 속도는 비교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버스에 참여하는 기기의 추가, 변경, 제거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