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단순도뇨 교육계획2025.01.04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도뇨관을 외부에서 신체 안으로 삽입하는 술기로,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을 포함한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단순도뇨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근거로 표준화된 방법으로 술기를 수행하여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교육에서는 단순도뇨의 적응증, 금기증, 합병증, 적응증에 따른 도뇨관 크기 선택, 도뇨관 삽입 절차, 물품 준비 등을 다루며, 실습을 통해 술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배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이는 방광이나 요도의...2025.01.04
-
단순도뇨 목적과 절차2025.01.131. 단순도뇨(Nelaton) 단순도뇨는 무균적으로 소변검사물을 채취하거나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도뇨관(catheter nelaton, 14fr)의 끝에 윤활제를 바르고, 도뇨세트를 무균적으로 준비하여 사용합니다. 2. 도뇨 절차 도뇨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환자에게 설명하고 사생활을 보호한다. 2) 환자를 배횡와위 자세로 취하게 한다. 3) 도뇨세트를 무균적으로 펼친다. 4)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5) 음순을 잡고 요도를 노출시킨 후 깨끗이 닦는다. 6) 요도에 도뇨관을 삽입하고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2025.01.13
-
만기하강 산모 관리2025.01.041. 분만 1기 관리 산모의 극심한 통증(NRS 8점)과 3-5분 간격의 진통을 호소하여 간호사가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법을 교육하였습니다. 패치딘 투여 후 통증이 완화되었으나, 태아 심박동수가 낮아 산소 투여와 제왕절개 가능성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소변 배출이 어려워 단순도뇨를 시행하여 500cc의 소변을 배출하였습니다. 1. 분만 1기 관리 분만 1기 관리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자궁 수축과 자궁 입구의 개대 정도를 면밀히 관찰하여 진행 상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태아의...2025.01.04
-
핵심술기 정리 part3 (단순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제거, 배출관장)2025.01.061. 단순도뇨(여성/남성) 단순도뇨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외음부를 소독하고 도뇨관을 삽입하는 방법, 남성의 경우 음경을 들어올리고 도뇨관을 삽입하는 방법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도뇨관 삽입 후 소변 배출 확인, 도뇨세트 정리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성과 남성의 경우 각각 다른 자세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도뇨관 풍선 팽창 확인, 도뇨관 고정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치도뇨제거 유치도뇨관...2025.01.06
-
단순도뇨와 유치도뇨2025.01.161. 단순도뇨(Catheterization) 단순도뇨는 요정체 시 방광팽만을 경감시키고 진단 목적으로 무균적 소변 검사물을 채취하고 잔뇨량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여성과 남성 환자의 단순도뇨 절차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준비물, 방법, 주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 유치도뇨는 장기간 자연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계속적인 배뇨를 돕고 수술 환자에 있어 방광의 손상을 막고 시간당 소변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다. 여성과 남성 환자의 유치도뇨 절차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2025.01.16
-
배뇨곤란 간호과정 배뇨장애 (진단3, 과정1)2025.01.291. 배뇨장애 대상자는 선생님, 소변이 마려운데 안 나와요, 선생님 배가 아파요라고 호소하였다. 간호진단은 장기적인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배뇨장애, 침상안정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수술부위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로 확인되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배뇨 상태 사정, 물 흐르는 소리 듣기, 따뜻한 물에 손 담그기, 프라이버시 보장, 단순 도뇨 시행, 배뇨장애 원인 설명 등이 이루어졌다. 1. 배뇨장애 배뇨장애는 매우 불편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입니다. 이는 신경학적, 근육학적, 또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