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물리학및실험 기전력측정 예비+결과 레포트2025.05.041. 기전력 측정 실험 목적은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전자와 습동전위차계(slide wire potentiometer)를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실험 원리는 그림 1과 같은 회로에서 AB는 굵기가 같은 습동형의 긴 저항선이고, E표준는 표준전지의 기전력이며, E미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지의 미지 기전력입니다. 전환 스위치 F를 옮겨서 검류계 G가 표준전지 E표준와 연결되게 하고 스위치 K1, K2를 닫고 습동형 스위치 H를 적당히 이동시키면서, 검류계가 0이 되는 H의 위치 x표준을 찾습니다. 이때 x표준...2025.05.04
-
[한기대 A+] 기전력 측정(전위차계)2025.05.111. 비저항 비저항은 단위 길이당의 전기 저항으로, 고유저항 또는 저항률이라고 한다. 도선의 저항 R은 도선 길이 l에 비례하고 단면적 s에 반비례한다. 비저항은 길이가 1m이고, 단면적이 1m^2인 도선의 전기저항에 해당하며, 단위는 Ω·m이다. 도선의 온도가 달라지면 도선의 저항값은 변하며, 이때 저항 온도 계수 α를 사용한다. 2. 기전력 기전력은 전지나 발전기와 같이 두 단자의 전위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능력으로, 단위는 V로 나타낸다. 전지나 발전기는 내부의 양(+)전하를 낮은 전위에서 높은 전위쪽으로 계속해서 옮겨주며,...2025.05.11
-
직류 발전기의 구성 4요소와 각각의 역할2025.01.231. 계자 계자는 직류 발전기의 외곽에 위치하며, 발전기 내부에서 자속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자속은 발전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계자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계자는 주자속을 형성하며, 이 자속은 전기자에서 회전 운동을 통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2. 전기자 전기자는 발전기의 핵심 회전 부품으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자는 계자에서 생성된 자속을 끊어 기전력을 유도하며, 이는 발전기의 전기 출력으로 이...2025.01.23
-
교류와 직류 그리고 강제 진동에 대한 정리2025.05.021. 교류와 직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이며, 직류(direct current, DC)는 진동하지 않는 전류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류 전류의 진동수는 60Hz입니다. 교류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서 도선 주위의 자기장도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며, 이는 Faraday의 유도 법칙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변압기를 통해 전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기전력과 전류 외부 자기장 안에서 전류고리가 회전하면 고리 안에 주기적으로 진...2025.05.02
-
페러데이 법칙 실험 보고서2025.05.101. 전자기 유도 페러데이 법칙은 자기선속의 변화가 기전력을 발생시킨다는 법칙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자기장 크기의 변화에 따른 유도기전력과 전류를 측정하고, 일정한 자기장에서 폐회로의 곡면 변화에 따른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를 측정하여 페러데이 법칙을 확인하였습니다. 2. 기전력 기전력은 전위차를 만들어내는 역학적 에너지나 화학적 에너지를 말합니다. 외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이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이 공급의 기능을 멈추며, 이 때의 전위차가 기전력입니다. 3. 자기선속 자기선속은 자기력선이 어떤 곡면에 작용하는 총 자기력을 나...2025.05.10
-
화학전지 예비보고서2025.05.121. 화학전지 화학전지는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입니다. 기본적인 구성은 반응성이 다른 두 금속을 전해질 용액에 넣고 도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반응성이 큰 금속이 산화되면서 전자를 내놓으면, 전자는 도선을 따라 반응성이 작은 금속 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화학전지에는 1차 전지와 2차 전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볼타전지, 다니엘전지, 건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납축전지 등이 있습니다. 2.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수반하는 화학 반응입니다. 산화는 ...2025.05.12
-
기전력 측정 보고서2025.01.031. 기전력 측정 이 보고서는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 전지와 습동 전위차계를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측정하는 실험에 대해 설명합니다. 실험 이론에 따르면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지점의 저항 값을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에서는 3회 반복 실험을 통해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측정하였고, 이를 계산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 오차 5% 이내로 일치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미지 전지 길이 측정의 정확도 부족, 실험 기구 내부 저항 무시 등이 고려되었습니다. 1. 기전력 측정 기전력...2025.01.03
-
화학전지와 열역학2025.04.281. 화학전지 화학전지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상호 변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갈바니 전지(볼타 전지)는 자발적 화학반응으로 전류가 발생하고, 전해 전지는 전류를 이용하여 비자발적 반응이 발생합니다. 화학전지로 만들어진 실용전지에는 건전지, 산화은 전지, 알칼리 전지, 리튬 전지, 납축전지, 수은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연료전지 등이 있습니다. 2.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반응물이 전자를 잃는 산화 반응과 다른 물질로부터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 항상 함께 일어나는 화학 반응입니다. 산화제는 다른 물질을...2025.04.28
-
건국대학교 물리학및실험2 3주차 기전력 측정 실험레포트2025.01.031. 기전력 측정 이 실험에서는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전지와 미끄럼 전위차계를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회로에서 표준전지와 미지 전지의 기전력 차이에 따른 전류 흐름을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오차 분석을 수행하고, 전지의 내부 저항과 산화-환원 반응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기전력 측정 기전력 측정은 전기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전력은 전기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원천이 되며,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회로의 동작을 이해...2025.01.03
-
건국대 물리학 및 실험2 3주차 기전력 측정, 전위차계 결과레포트2025.01.181. 기전력 측정 이 실험의 목적은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전지와 습동전위차계를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표준전지의 기전력과 미지 전지의 기전력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 전지의 기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에서는 계산된 기전력과 측정된 기전력 사이의 오차율이 평균 0.53%로 매우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류계 측정의 정확성, 도선 및 미지 전지의 저항 등의 요인으로 인한 오차가 크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2. 전위차계 이 실험에서는 습동전위차계를 사용하여 미지 전지...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