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국내외 보건정책에 대한 비교 보고서- 금연정책2025.01.061. 국내 금연정책 1986년 담배사업법에 의해 담뱃갑 경고문구 표기 및 담배광고의 제한으로 시작되었으며, 1995년 국민건강법 제정에 따라 금연구역 설정 등 흡연을 규제하면서부터 본격적인 금연정책이 추진되었다. 이후 건강증진 부담금 부과, 담배성분 공개, WHO 담배규제기본협약 서명 및 비준, 금연지원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었다. 2. 호주의 금연정책 2005년부터 모든 공공장소와 거리 벤치, 해변가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등 강력한 금연정책을 시행하였다. 2010년에는 담배 제품의 브랜드 및 로고 제거, 정해진 색상 사...2025.01.06
-
국내외 금연사업 보고서(A+)2025.05.041. 국내 금연사업의 현황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현재 흡연율은 1998년 66.3%, 2001년 60.9%에서 담배가격 인상, 금연구역 지정 및 확대, 금연 캠페인·홍보 등 강화된 금연정책 시행에 따른 금연 규범의 확산으로 2018년 조사 결과 36.7%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만 15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31.6%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젊은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2. 국외 금연사업 현황 세계보건기구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14조에 근거한 금연지원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금연상담전...2025.05.04
-
국내외 흡연 및 금연 관련 정책 동향2025.05.021. WHO FCTC 정책 추진 경과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의 세부 조항에는 담배 연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FCTC의 시작에 따라 효과적이고 근거 있는 담배 규제 정책에 대한 정보 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고, 예산 확보 전략 및 활용 정보와 각 국가의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FCTC는 총 10장 39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격 정책과 비가격 정책, 담배 제품의 공급 감소 정책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국내 담배규제 이행 현황과 금연구역 정책 우리나라에서는 19...2025.05.02
-
금연구역확대의 효과와 한계2025.01.181. 금연구역 확대의 효과 금연구역 확대는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결심하도록 강력한 동기를 부여하고, 금연을 지속하게 만드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간접흡연을 줄여 비흡연자들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 금연구역 확대는 흡연의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 금연구역 확대의 한계 금연구역 확대만으로는 금연을 유도하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흡연자들을 위한 적절한 흡연 시설이 부족하다면 오히려 길거리 흡연을 조장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금연구역 지정 제도는 주민들의...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