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신구약의 유사점과 차이점2025.01.131. 실체의 동일함 신구약의 유사점은 첫째, 어느 시대에 속했든 하나님의 백성은 영생의 소망을 가지고 그분의 자녀로서 사는 삶을 추구했다. 둘째, 그들이 누린 언약의 은총은 자신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비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셋째, 그들은 모두 그리스도를 '중보자'로 알고 있었고 '그 분을 통하여' 하나님의 약속에 참여한다고 믿었다. 2. 구약은 구원에 대한 장래를 내다본다 오래전에 하나님 아버지께서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성경에 복음을 미리 약속하시고, 지정된 때에 '그의 아들에 관하여' 복음을 선포하셨다. 율법과 선지자들이 믿...2025.01.13
-
누가복음 6장의 평지설교에 대한 연구2025.01.281. 평지설교의 구조 평지설교는 어디서 단락이 끝나는지 분명치 않고, 그 자체에 여러 개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어서 구조를 결정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평지설교가 접속구절에 근거해서 세 부분(눅 6:20-26 도입/눅 6:27-38 구체적인 삶/눅 6:39-49 마지막 권면과 경고)으로 나뉜다는 데 동의한다. 2. 평지설교와 산상설교의 관계 대체적으로 종교개혁 이전 시대까지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평지설교와 산상설교를 서로 다른 두 설교로 이해했다. 그러나 종교개혁 시대에 이르러서 두 설교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2025.01.28
-
김세윤 <바울복음의 기원> 독후감&서평2025.04.281. 바울의 회심 전 모습 바울은 이스라엘의 베냐민 지파 사람으로 다소에서 태어나 예루살렘에서 자라고 교육을 받았다. 그는 바리새파 중에서도 가장 엄한 Shammai학파에 속했으며 율법과 유대의 전통에 대한 극도의 열의를 지니고 있었다. 이런 열심이 바울을 오히려 교회를 핍박하는 자로 만들었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인들이 나사렛 예수를 하나님이 부활시키시고 높이신 메시야라고 선포한 것과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름으로 율법과 성전의 의식을 공격하였기 때문이었다. 2. 바울의 다메섹 도상 경험 박해를 위하여 그리스도인들을 추격하던 바울...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