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토론2025.11.131. 부교재의 대체자료로서의 기능 부교재는 주교재 외의 모든 교육자료를 의미하며, 보조자료, 대체자료, 연습자료, 심화연습자료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대체자료로서 부교재를 사용할 경우 교수자가 학습자 수준이나 상황에 맞게 교재를 제작 및 활용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뚜렷한 교육목표와 교수요목이 없으면 교육방향을 잃어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실러버스를 작성하여 목표와 방향을 확실히 한 후 교육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2. 한국어 교재의 국제표준화 한국어...2025.11.13
-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분석2025.11.151. 학습 대상의 차이 국어 교과서는 모국어가 한국어인 한국인 학습자를 주요 대상으로 하며 공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한다. 반면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하며, 다문화 배경의 학습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학습 대상의 차이는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2. 목적과 기능의 차이 국어 교과서의 목적은 한국어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언어사용능력, 사회적 소통능력, 국어문화의 계승과 발전 등 고등 정신 기능의 신장에 있다.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의 사용 능...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