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정보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 의견 차이 활동의 초/중급 말하기 활동지2025.01.131. 정보 차이 활동 정보 차이 활동은 학습자에게 정보를 나누어 주고 서로의 정보교환을 통해서 하나의 완전한 정보로 만드는 활동입니다. 초급 활동으로는 빈칸 채워 넣기 활동, 중급 활동으로는 서로 다른 정보를 합쳐 완성된 내용 만들기 활동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2. 추론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은 주어진 정보를 추론하게 함으로써 몇 가지 새로운 정보를 끌어내게 하는 활동입니다. 초급 활동으로는 그림 내용 추론하기 활동, 중급 활동으로는 지도를 보고 여행 일정 만들기 활동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3. 의견 차이 활동 의견 차이 활동은...2025.01.1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2025.01.241. 절차 중심 교수요목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수행하게 되는 과제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된 교수요목을 말하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 사용을 경험함으로써 언어를 자연스럽게 학습하도록 하는 일련의 절차나 과정 전반을 말한다. 전통적 방법의 교수요목, 즉 결과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개념이나 지식을 습득하고 암기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 내용보다는 학습 과정의 측면에서 달성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교수 학습 내용을 조직하게 되었다. 즉, 학습자를 기계적으로 학습하는 수동적인 위치에...2025.01.24
-
사례와 함께 본 교수요목 5가지2025.01.231. 문법적 교수요목 (Grammatical Syllabus) 문법적 교수요목은 언어의 구조와 규칙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문법 항목들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형식이 중심이 되어 언어의 형태와 규칙에 집중하여 문법적 정확성을 강조합니다. 간단한 문법 항목에서 복잡한 문법 항목으로 점진적으로 학습하며, 규칙을 암기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방식입니다. 2. 개념·기능적 교수요목 (Notional-Functional Syllabus)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필...2025.01.23
-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제시2025.01.081. 초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초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아픈 증상을 설명하기'를 제시하였다. 이 과제의 목적은 몸이 아프거나 문제가 있을 때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아픈 증상을 설명하고 처방을 요청하는 대화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과제 활동으로는 말하기 전 단계에서 경험 공유, 어휘 학습 등을 하고, 말하기 단계에서 역할극을 수행하며, 말하기 후 단계에서 발표와 피드백을 제공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하며, 학습자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2. 중급 학습자를 위한 ...2025.01.08
-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 적용 방안2025.01.13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 내용보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목표어를 제시하고, 이에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사용하여 달성해야 할 과제를 상세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내용을 조직하는 교수요목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규칙을 인지하고 언어가 변화하는 방식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문법이나 어휘 등 요소의 선정은 부수적이며, 수업 절차와 과업 선정이 우선적이다. 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의의와 한계 절차 중심 교수요목을 채택한 수업에서 제시하는 과제는 실제 문제 상황과 유사하여 학습자...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