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칼빈의 자유, 기도, 그리고 선택2025.01.191. 자유 칼빈은 자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한다. 첫째,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로, 성도들은 율법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자비만을 의지해야 한다. 둘째, 강압으로부터의 자유로, 성도들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기쁨과 열정으로 순종한다. 셋째, 가치중립적 자유로, 성도들은 양심의 자유 안에서 하나님의 선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2. 기도 칼빈은 기도를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자 신앙의 표현으로 보았다. 그는 기도에 대한 네 가지 올바른 법칙을 제시했는데, 경외심, 회개, 겸손, 확신 있는 소망이 그것이다. 또한 기도의 중보자는...2025.01.19
-
구속언약: 성경적·신학적·역사적 관점2025.11.121. 구속언약의 기원과 전개 구속언약은 1638년 데이비드 딕슨이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서 처음 용어를 사용했으며, 17세기 후반에 일정하게 등장하여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16세기 전체와 17세기 초반에는 창세전 삼위일체 세 위격 사이의 내적 언약의 존재가 논의되었고,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정통 사상 안에서 17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공인된 관념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2. 구속언약의 성경적 원리 성경은 창세전 성부와 성자 사이의 협정 존재를 암시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매매 용어, 화목제물 명칭, 성부와 성자의 대화...2025.11.12
-
칼빈5대강령: 불가항력적 은혜의 의미와 실제2025.11.121. 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ible Grace) 불가항력적 은혜는 우리가 저항할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성령의 효력있는 은혜의 사역을 의미한다. 인간은 저항할 수 있고 실제로 저항하지만, 성령이 뜻하시면 언제든지 저항하는 인간을 능히 구원하신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부르시고 이끄시는 방식으로, 하나님의 주권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모든 저항을 이기신다는 의미이다. 2. 인간의 전적 타락과 무능력 사람들은 그리스도께 갈 의지도 없고, 갈 수도 없으며 본성적으로 가려고 하지 않는다. 하나님을 미워하고 반항하며,...2025.11.12
-
칼빈 5대강령: 무조건적 선택과 하나님의 예정2025.11.121.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하나님은 인간의 공로나 믿음의 예견에 관계없이 창세 전부터 자신의 백성을 선택하셨다. 이는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은혜를 강조하며,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적 결정에 달려있음을 의미한다. 롬8:28-30에서 바울은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을 미리 정하시고, 부르시고, 의롭다 하시고, 영화롭게 하신다는 구원의 완전한 과정을 설명한다. 2. 하나님의 예정과 부르심 하나님은 영원 전부터 구원받을 자들을 예지(선택)하시고 예정(계획)하셨다. 이 예정된 자들을 믿음 안에서 부르...2025.11.12
-
WCC의 에큐메니칼 신학과 교회 일치론 비판2025.11.121.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역사와 정체 WCC는 1948년 암스테르담 총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9차 총회를 개최했으며, 120개국 349개 교단의 5억 6천만 회원을 보유한 초대형 단체로 성장했다. WCC는 교리의 진위를 따지지 않고 가시적이고 기구적인 교회 연합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성경적 교회의 본질과 상충된다. WCC는 형식상 교회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완전한 가시적 교회'를 추구해왔다. 2. WCC의 성경론과 신학적 문제점 WCC는 성경을 전통 또는 전통화의 산물로 보며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2025.11.12
-
한국개혁신학: WCC 비판과 개혁주의 신학2025.11.141.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신학적 문제점 WCC는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부인하고 종교다원주의를 추구하며, 정통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을 거부한다.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 아닌 교회 전통의 산물로 간주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유일한 구원의 중보자로 여기지 않으며, 성령을 타 종교의 영적 현상과 혼동한다. 또한 복음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균형을 훼손하고 있다. 2. 개혁주의 에큐메니즘과 WCC의 차이 초대 교회와 종교개혁기의 진정한 성경적 에큐메니즘은 교리의 일치를 최우선 과제로 여겼으나, WCC는 교리 내용의 정당성을 불문하고 가시적 ...2025.11.14
-
총체적 복음: 개혁 신학의 신본주의적 접근2025.11.141. 총체적 복음 구원을 신앙의 출발점으로 보는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영혼 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균형있게 다루는 복음 이해. 인본주의적 접근에서 벗어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신본주의적 삶을 추구하며, 개인의 영혼 구원뿐만 아니라 이웃 돌봄과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하나님 나라의 총체적 회복을 강조한다. 2. 개혁 신학 자기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을 삶의 원동력으로 삼는 신학 전통. 신앙을 개인의 욕구나 세속적 욕심을 채우는 수단으로 전락시키지 않으며, 성경적 신앙의 본질을 추구한다. 종교개혁 이후 유럽과 미...2025.11.14